반응형

전기 54

KEC341.13 피뢰기의 시설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4번]

[문제]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에는 피뢰기 또는 가공지선 등의 피뢰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 정의하는 피뢰기를 시설하여야 하는 장소를 3개소만 쓰시오. [답안] KEC 341.13 피뢰기의 시설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고압측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차동계전기 이해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2번]

[문제] 그림과 같이 차동계전기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는 3상 Δ-Y 결선 30 [MVA], 33/11 [kV] 변압기가 있다. 고장전류가 정격전류의 200 [%] 이상에서 동작하는 계전기의 전류(ir) 정정값을 구하시오. (단,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 CT의 변류비는 각각 500/5 [A], 2000/5 [A] 이다.) [답안] 우선 변압기 1차측, 2차측 전류 Ip, Is를 구해야 합니다. 변압기의 전압과 용량이 나와있으니 각각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차동계전기는 변압기의 결선과 반대로 연결합니다. 즉, 변압기가 Δ 결선이면 계전기는 Y 결선, 변압기가 Y 결선이면 계전기는 Δ 결선으로 연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is를 구할 때 Is 에 변류비를 곱해준 후 추가로 루트3배를 해주어 선전류를 구해야합..

축전지의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1번]

[문제] 그림과 같은 방전특성을 갖는 부하에 필요한 축전지 용량은 몇 [Ah] 인지 구하시오. 단, 방전전류 : I1=200 [A], I2=300 [A], I3=150 [A], I4=100 [A] 방전시간 : T1=130 [분], T2=120 [분], T3=40 [분], T4=5 [분] 용량환산시간 : K1=2.45, K2=2.45, K3=1.46, K4=0.45. 보수율은 0.7로 적용한다. [답안] 축전지의 용량은 방전특성 곡선의 면적을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만 방전시간, 용량환산시간에 대한 기준이 위의 그림과 다르게 각 구간별로 나타낸 것도 있습니다. 축의 기준이 달라져도 전체 면적을 구하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K x I 로 나타낸다고 하면 총 4가지 면적에 대해서 더해주고 빼주면 될 것입니다...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0번]

[문제] 계기용 변류기 (CT)를 선정할 때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때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의 관계식을 쓰시오. [답안] (1) 열적 과전류 강도 관계식 (단, Sn: 정격 과전류 강도 [kA], S: 통전시간 t초에 대한 열적 과전류강도, t: 통전시간 [sec] (2) 기계적 과전류 강도 관계식 열적 과전류 강도란? CT에 손상을 주지 않고 1초간 1차측에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를 말합니다. [kA] 실효치로 표시됩니다. 기계적 과전류 강도란? CT가 전자력에 의해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손상이 되지않은 1차측 전류의 파고치를 말합니다. 즉 기계적 과전류 강도는 열적 과전류 강도의 2.5배 입니다.

동력 부하 설비 용량 및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구하기[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9번]

[문제] 3층 사무실용 건물에 3상 3선식의 6000 [V]를 200 [V] 로 강압하여 수전하는 설비이다. 각종 부하 설비가 표와 같을 때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답안] (1) 동계 난방 때 온수 순환 펌프는 상시 운전하고, 온수 순환 펌프는 수용률이 100 [%], 보일러용과 오일 기어 펌프의 수용률이 60 [%] 일 때 난방 동력 수용 부하는 몇 [kW] 인가? 6.84 [kW] [표 1] 의 동계동력 란에 있는 정보로 계산해본다면, 온수 순환 펌프 3.0 [kW]에 수용률 100 [%], 보일러 펌프 6 [kW]에 수용률 60 [%], 오일 기어 펌프 0.4 [kW]에 수용률 60 [%] 이므로 3.0 x 1 + 6.0 x 0.6 + 0.4 x 0.6 = 6.84 [kW] 입..

소선의 가닥 수와 연선의 외경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4번]

[문제] 소선의 직경이 3.2 [mm]인 37가닥 연선의 외경은 몇 [mm]인지 구하시오. [관련 이론 및 용어정리] https://findahobby.tistory.com/37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소선의 가닥 수 자주 접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소선의 직경과 가닥수를 알려주며 연선의 외경을 구하라는 문제를 한번씩 접해본 적이 있으실겁니다. 이 문제 또한 대입하여 풀 수 있는 공식이 있으나 공식이 어 findahobby.tistory.com [답안] 37=3n(n+1)+1 이며 n=3, 즉 연선은 3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D=(2n+1)*d 이며 n=3을 대입하면 D=(2*3+1)*3.2=22.4 [mm] 입니다. 즉, 연선의 외경 D= 22.4 [mm] 입니다. [의견] 소선의 총 갯수가 ..

소선의 가닥 수

자주 접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소선의 직경과 가닥수를 알려주며 연선의 외경을 구하라는 문제를 한번씩 접해본 적이 있으실겁니다. 이 문제 또한 대입하여 풀 수 있는 공식이 있으나 공식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먼저 알아보면 몇년에 한번 나온 문제라도 까먹지 않으실 수 있을겁니다. 공식을 보기 전에 먼저 소선과 연선에 대해 이해해봅시다 소선이란? 소선(素線)이란 흴 소, 줄 선 으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소(素) 라는 뜻은 뽑은지 얼마 안된 실을 나타낸 것으로 순수하고 원초적인 것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직역을 해보자면 원초적인 선, 순수한 선 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으며 전기, 전자 분야에서 소선의 사전적인 의미는 절연체 따위를 씌우지 아니한 상태의 전선 이라고 합니다. 연선이란? 그렇다면 연선이란 무엇일까요?..

3상 유도전동기 역률과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3번]

[문제] 그림과 같은 평형 3상 회로로 운전하는 유도전동기가 있다. 이 회로에 그림과 같이 2개의 전력계 W1, W2, 전압계 V 전류계 A 를 접속하였더니 지시값은 W1= 2.9 [kW], W2= 6 [kW], V= 200 [V], A= 30 [A] 이었다. 이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이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몇 [%] 인지 구하시오. (2) 역률을 90 [%]로 개선시키려면 몇 [kVA] 용량의 콘덴서가 필요한지 구하시오. (3) 이 전동기로 만일 매분 20[m]의 속도로 물체를 권상한다면 몇 [ton] 까지 가능한지 구하시오. (단, 종합효율은 80[%] 로 한다. [관련 이론 및 용어정리] https://findahobby.tistory.com/33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