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 30

타입(Type) - Java 예제

타입(type)지난 예제 풀이들을 통해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다. 혹시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복습을 하고 오면 좋을 것 같다. 변수 선언하기 - Java 예제변수 선언하기(declaration)변수(Variable)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를 의미한다. 즉,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야 하며 변수findahobby.tistory.com  변수에 값 할당하기 - Java 예제변수에 값 할당하기 (Assignment)아래의 지난 예제에서 변수 선언을 하였다.  변수 선언하기 - Java 예제변수 선언하기(declaration)변수(Variable)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를 의미한다. 즉, 어떤 값..

메서드 호출과 리턴 - Java 예제

메서드의 호출(invoke; call)변수에 메서드가 담겨있다면, 다른 변수와는 다르게 () 괄호를 붙여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값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를 전달인자(argument), 줄여서 인자라고 부른다.String word = speakUp("hello world");// 1. 메서드 speakUp에 ()를 붙여 함수를 호출// 2. 호출 시 괄호 안에 "hello world"를 넣어 문자열 "hello world"를 인자로 전달// 3. 호출된 메서드가 리턴하는 값을 변수 word에 할당 메서드의 리턴(return)메서드가 호출되고 나면, 메서드의 body인 중괄호 내의 코드가 실행되고 결과값을 리턴한다. 이 결과 값은 메서드의 body에서 어떤 값을 return 하는지에 따라서 ..

메서드 선언하기 - Java 예제

메서드의 선언 메서드(method) - Java 예제메서드메서드는 입력(input)을 받아 출럭(output)을 하는 하나의 작은 단위이다. 예를 들어 계산기를 만드는 경우 계산기가 풀고자 하는 문제인 숫자 계산을 위해서는 몇 가지의 기능이 필요하다.findahobby.tistory.com지난 예제에서 메서드 작성 방법을 확인했다.자바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메서드를 직접 구현할 수 있다. 첫번째는 정수를 입력받아 1을 더한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이다. 두번째는 정수를 입력받아 1을 뺀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이다.public int plusOne(int input1) { input1 = input1 + 1; return input1;}public int minusOne(int input2) { in..

메서드(method) - Java 예제

메서드메서드는 입력(input)을 받아 출럭(output)을 하는 하나의 작은 단위이다. 예를 들어 계산기를 만드는 경우 계산기가 풀고자 하는 문제인 숫자 계산을 위해서는 몇 가지의 기능이 필요하다. 아래의 그림을 참고해보면 메서드 하나를 만드는 것은 작은 네모 하나를 만드는 것과 같다.단순한 문제인 두 숫자의 덧셈을 위한 메서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public int sum(int num1, int num2) { int result; result = num1 + num2; return result;}int output = sum(1, 2); // 3문제속력 'speed', 시간 'time' 이 숫자로 주어졌을 때, 이동한 거리를 변수 'distance'에 할당하여 리턴하는 'getRun..

표현식(expression) - Java 예제

값의 표현표현식이란 하나의 값으로 표현되는 코드를 의미한다. 예로 1+1이 무엇인지 굳이 확인하지 않아도 2를 표현하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자바에서도 이러한 글자, 숫자, 기호를 한 글자씩 독해하여 하나의 값으로 컴파일(Compile) 한다. 표현식은 변수로 구성되기도 한다. Speed와 Distance를 알고 있다면 time을 구할 수 있다. (거리=속력*시간) 한시간에 5km를 달리는 고양이가 10km를 가기 위해서는 2시간이 걸린다. 이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코드가 필요하다.int speed, distance, time;speed = 5;distance = 10;time = distance / speed; // speed와 distance의 값을 조회하여, `/` 연산자와 함께 컴파..

변수에 값 할당하기 - Java 예제

변수에 값 할당하기 (Assignment)아래의 지난 예제에서 변수 선언을 하였다.  변수 선언하기 - Java 예제변수 선언하기(declaration)변수(Variable)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를 의미한다. 즉,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야 하며 변수findahobby.tistory.com변수 선언을 했다는 것은, 어떤 값(value)을 넣을 수 있는 자리를 컴퓨터 메모리에 미리 잡아 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그 값은 어떻게 넣을까? 잡아놓은 'letter'라는 빈자리에 무언가 값을 넣는 작업을 "변수에 값을 할당한다." 라고 한다. 변수뒤에 '=' 연산자를 쓰고, 뒤에 할당하고자 하는 값을 넣을 수 있다. 문자 A를 할당 해..

변수 선언하기 - Java 예제

변수 선언하기(declaration)변수(Variable)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를 의미한다. 즉,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야 하며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타입을 명시해주어야 한다.변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int, char 와 같은 키워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름이 'letter' 라는 char 타입의 변수를 선언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char letter;이 코드는 컴퓨터에게 "char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letter 라는 이름을 붙여라." 라고 명령하는 것과 같다. 아래 그림과 같이 letter라는 저장소를 만드는 작업을 변수 선언 이라고 볼 수 있겠다.문제Solution class에 키워..

Java 자료구조(Data Structure) - 트리(Tree)

자료구조 Tree 란?자료구조 Tree는 이름 그대로 나무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정확히는 나무를 거꾸로 뒤집에 놓은 듯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래프의 여러 구조 중 단방향 그래프의 한 구조로 하나의 뿌리로부터 가지가 사방으로 뻗은 형태가 나무와 닮았다고 하여 트리 구조라고 불린다.트리 구조는 데이터가 바로 아래에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무방향으로 연결된 계층적 자료구조이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나열시키는 선형 구조가 아니라 하나의 데이터 아래에 여러 개의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는 비선형 구조이다. 트리 구조는 계층적으로 표현이 되고 아래로만 뻗어나가기 때문에 사이클이 없다.Tree의 구조와 특징트리 구조는 루트(Root)라는 하나의 꼭지점 데이터를 시작으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간선(edge)로 연..

Java 자료구조(Data Structure) - 큐(Queue)

Queue 란?큐(Queue)는 사전적인 의미로 줄을 서서 기다리다, 대기 행렬 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톨게이트를 나란히 지나가는 자동차들을 큐 자료구조의 데이터로 비유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진입한 자동차가 가장 먼저 톨게이트를 통과한다. 다시말해 가장 나중에 진입한 자동차는 먼저 도착한 자동차가 모두 빠져나가기 전까지 톨게이트를 빠져나갈 수 없다.  Queue의 구조자료구조 Queue는 Stack과 상반되는 개념으로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FIFO(First IN First Out) 혹은 LILO(Last In Last Out) 특징을 가지고 있다. Queue에 데이터를 넣는 것은 enqueue, 꺼내는 것을 dequeue 라고 한다. Queue의 특징FIFO(First In Firs..

Java 자료구조(Data Structure) - 스택(Stack)

Stack 이란?Stack 의 사전적 의미는 쌓다, 쌓이다, 포개지다 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마치 접시를 쌓아놓은 형태와 비슷한 자료구조로 직역 그대로, 데이터를 순서대로 쌓는 자료구조이다. Stack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입력과 출력이 하나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한적 접근에 있다.이런 Stack 자료 구조의 정책을 LIFO(Last In First Out) 혹은 FILO(First In Last Out) 이라고 한다.Stack에 데이터를 넣는 것을 Push, 데이터를 꺼내는 것을 Pop 이라고 한다.LIFO(Last In First Out)먼저 들어간 데이터는 제일 나중에 나오는 후입선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예1) 1, 2, 3, 4를 스택에 차례대로 넣습니다.Stack stack = new ..

카테고리 없음 2024.06.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