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부/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59

전기공사 경력 계산하기! - 전기공사업, 전기공사 경력수첩 발급조건

2024.12.16-전기공사 중급수첩 발급하기! - 전기공사업, 전기공사 경력수첩 발급조건 전기공사 중급수첩 발급하기! - 전기공사업, 전기공사 경력수첩 발급조건2022년 11월, 전기기사 취득 후 이직한지 약 2년여 시간이 흘렀다. 아마 나처럼 전기기사 취득하는 사람들의 루트들이 대부분 무제한 용량 선임이 가능한 전기기사 + 2년 경력을 쌓아 전기 중급수findahobby.tistory.com 이전 글을 통해서 볼 수 있듯, 나는 전기 공사 중급 신청을 2번 하게 생겼다. 2년에 딱 맞춰 신청을 했는데...전기 공사업이 등록되지 않은 2개월의 시간이 인정되지 않았다. 전 직장이 대전에 있는 회사라서 경력확인서를 나중에 다시 받을 수도 없고... 결국 오늘은 경력 신청만 하고 온 셈이다.다른 사람들은 나..

전기공사 중급수첩 발급하기! - 전기공사업, 전기공사 경력수첩 발급조건

2022년 11월, 전기기사 취득 후 이직한지 약 2년여 시간이 흘렀다. 아마 나처럼 전기기사 취득하는 사람들의 루트들이 대부분 무제한 용량 선임이 가능한 전기기사 + 2년 경력을 쌓아 전기 중급수첩 발급하는 것이 목표일 것이다. 여러 구글링을 통해서 봤는데 전기공사 중급수첩을 발급한 후 협회 증빙자료로 전기기술인협회 중급 신청 하는 방법이 증빙서류가 가장 확실하다고 하여 나도 그렇게 준비했다. 오늘 신청한 뜨끈뜨끈한 후기를 작성하며 서류 준비 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전기공사 초급 수첩 신청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 경력 2년이 있다면 처음부터 중급을 신청할 수 있긴 하지만, 나의 경우에는 전기공사업 선임이 필요했기 때문에 초급수첩부터 발급을 받았다. 필요하신 분들은 이전 작성..

전기공사기사 - 전기 응용 및 공사재료_2. 전열

1. 전기 가열방식에 따른 종류, 용도 및 특징 ▶ 저항가열 : 전류에 의한 ohm 손을 이용, 직접식, 간접식, 전기기기 건조. ▶ 아크가열 : 아크열을 가열에 이용, 직접식, 간접식. ▶ 유도가열 : 와전류에 의한 저항손 또는 히스테리시스손을 이용. 금속의 표면처리, 담금질, 고주파 납땜. ▶ 유전가열 : 유전체손을 이용 가열, 1 ~ 200 Hz. 비닐막 접착, 목재의 건조, 목재의 접착 ▶ 적외선가열 : 복사열 이용, 적외선전구, 비금속 발열체 ▶ 전자빔가열 ▶ 복사가열 : 적외선 전구 2. 열의 옴의 법칙 ▶ I = θ/R = k * Aθ/l [W], [W]=[J/s]=[cal/s]=[kcal/h] ▶ 열전도율의 단위 ρ [kcal/h*℃] ▶ 비열 : 물을 1 ℃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 ▶주울의..

전기공사기사 - 전기 응용 및 공사재료_1. 조명공학

1. 용어의 정리 1. 밝기 ▶ 광도 I [cd] ▶ 조도 E [lx] : 광원에 의해 비쳐지는 곳의 밝기 ▶ 광속 발산도 R [rlx] 2. 복사속과 광도 ▶ 복사(방사) : 전자파로서 전파되는 에너지 ▶ 복사속 (방사속) : 단위 시간당의 복사 에너지 단위 [J/s]=[W] 3. 시감도 ▶ 어느 파장의 에너지가 빛으로 느끼는 정도 ▶ 380 ~ 760 [nm] = 3800 ~ 7600 [Å] ▶ 최대 시감도 : 680 [lm/W] (이 때의 파장은 555 [nm] = 5500 [Å] 4. 비시감도 ▶ V = (시감도 / 555 [u]에 대한 시감도) = S / K 5. 광도 : 광원의 밝기 ▶ 기호 : I ▶ 단위 : [cd] ▶ I = dF/dw [cd] 6. 광속 : 단위 시간에 복사되는 에너지 ..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 연도별 & 회차별 합격률

아무래도 전기기사를 합격한 상황이기 때문에 전기공사 산업기사는 도전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같은 급으로 가지고싶은 사람의 욕심일까요? 하하. 바로 합격률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다른 시험 합격률도 확인해보세요! 2022.10.09 - 전기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 연도별 & 회차별 합격률 전기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 연도별 & 회차별 합격률 모든 시험들이 그러하듯 합격률이 가장 많이 궁금할 것입니다. 저 또한 비전공자에 직장인이라 "내가 과연 전기기사 시험을 합격할 수 있을까?" 라는 의구심을 항상 품고 공부를 진행하였습니다 findahobby.tistory.com 2022.10.14 - 전기산업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 연도별 & 회차별 합격률 전기산업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 연도별 & 회차별 합격..

전기공사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 연도별 & 회차별 합격률

전기공사기사! 전기기사를 준비하신 분들이라면 필기시험 중 면제과목이 다수가 있어 하는김에 같이 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흔히들 쌍기사 라고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두 가지를 동시에 준비하시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기공사기사 1개만으론 메리트가 크게 없다고 하는 분들도 있고, 대기업이나 공기업에서 가산점을 받기위한 목표가 아니라면 굳이 하지 않는다고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는 전기기사를 3회차에 붙었기 때문에 전기공사기사 4회차를 응시할 수 있었는데 빈자리를 응시하는 것을 모르고 신청 기간을 놓쳐버렸습니다ㅠㅠㅠㅠ(사실 4회차의 존재조차 몰랐습니다....) 전기기사와 전기 공사기사는 1년에 3회씩 시험이 있으며 전기기사는 1, 2, 3회차, 전기공사기사는 1, 2, 4회차 로 나누어진다고 합니다. 왜 인지 모..

전기산업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 연도별 & 회차별 합격률

사실 저는 회사를 다니면서 공부하는데다가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전기기사에 합격할 자신이 그렇게 많지는 않았습니다. 그나마 지방대 4년제 공대를 졸업해서인지 다행스럽게 전기기사 응시 자격이 되었었고 항상 보험(?)으로 전기산업기사를 함께 시험봤습니다. 6개월 전 전기 산업기사 실기에 합격이 되었는데....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그래도 전기기사 합격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욕심이 생기더군요. 전기 산업기사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은 마음에 포기하고싶은 마음도 굴뚝같았지만 그래도 산업기사보다는 기사가 훨씬 더 좋다는 말에 필기 면제기간까지만 도전해보자! 라는 마음으로 계속 공부했고 결국 합격하였습니다! 물론 기사와 비교하였을 때 산업기사라고 더 쉽거나 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두 시험을 동시에 보다보니 같은달 ..

전기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 연도별 & 회차별 합격률

모든 시험들이 그러하듯 합격률이 가장 많이 궁금할 것입니다. 저 또한 비전공자에 직장인이라 "내가 과연 전기기사 시험을 합격할 수 있을까?" 라는 의구심을 항상 품고 공부를 진행하였습니다. 필기시험은 그나마 찍어서라도 맞춘다지만... 실기시험은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주관식이기에 자신이 많이 없었거든요. 실제로 타 카페나 커뮤니티에 들어가서 봐도 필기에 합격하신 분들이 해당 회차에 공부를 많이 못했다면서 다음 회차 응시 준비를 해야겠다는 고민과 사연들이 넘쳐납니다. 하지만 저는 연도별, 회차별 합격률을 먼저 보고나서 "아, 합격률이 높은 회차는 1년중에 한번은 꼭 오겠구나, 공부가 많이 부족해도 필기 면제기간동안은 무조건 시험을 봐야겠다." 라는 마음을 먹고 시험에 응시했고, 다행스럽게도 2022년 2회차..

지락 시 지락전류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2회 5번]

[문제] 옥내 배선의 시설에 있어서 인입구 부근에 전기 저항값이 3 [Ω] 이하의 값을 유지하는 수도관 또는 철골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접지극으로 사용하여 이를 중성점 접지 공사한 저압 전로의 중성선 또는 접지측 전선에 추가 접지할 수 있다. 이 추가 접지의 목적은 저압 전로에 침입하는 뇌격이나 고 저압 혼촉으로 인한 이상 전압에 의한 옥내 배선의 전위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 지락 사고시에 단락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과전류 차단기의 동작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그림에 있어서 (나) 점에서 지락이 발생한 경우 추가 접지가 없는 경우의 지락 전류와 추가 접지가 있는 경우의 지락 전류값을 구하시오. [답안] (1) 추가 접지가 없는 경우 지락전류 [A]: 5 [A] (2) 추가 접지가 있는 경우..

지락사고 검출 [2020 전기기사 실기 2회 4번]

[문제] 고압 선로에서의 접지사고 검출 및 경보장치를 그림과 같이 시설하였다. A선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원이 인가되고 경보벨의 스위치는 닫혀있는 상태라고 한다. [답안] (1) 1차측 A선의 대지 전압이 0 [V] 인 경우 B선 및 C선의 대지 전압은 각각 몇 [V] 인가? B선의 대지전압 : 6,600 [V] C선의 대지전압 : 6,600 [V] 선간전압은 6.6 [kV] 이므로 각 상의 전압은 루트3으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A상에는 지락사고가 발생하여 0V가 되면 나머지 B, C 상은 건전상의 루트3배가 되므로, B와 C의 대지전압은 6.6 [kV] 가 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단위는 [V] 이니 6,600 [V]로 쓰면 됩니다. (2) 2차측 전구 ⓐ의 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