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 54

[전기기사 실기 단답-4] 전동기 파트

Q MCC(Motor Control Center) 기기 구성에 대표적 3가지 A ① 차단장치 ② 기동장치 ③ 제어 및 보호장치 ​ Q 전동기 소손방지를 위한 과부하 보호장치의 종류 A ① 전동기용 퓨즈 ② 열동계전기 ③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④ 유도형 계전기 ​ Q 저압전로 중의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 보호장치의 생략 가능한 경우 A ① 전동기를 운전 중 상시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시설하는 경우 ②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로 보아 전동기가 손상될 수 있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경우 ③ 단상 전동기로써 그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6A (배선 차단기는 20A) 이하인 경우 ​ Q 3상 교류 전동기 보호 종류 5가지 A ① 결상보호 ② 역상보호 ③ 단락보호..

[전기기사 실기 단답-3] 전기공사 파트

Q 각 전선의 명칭 A ① VV: 0.6/1 kV 비닐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② DV: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③ CV1: 0.6/1 kV 가교 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④ OW: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⑤ NV: 비닐절연 네온전선 ⑥ N-RV: 고무절연 비닐시스 네온전선 ⑦ N-RC: 고무절연 클로로프렌시스 네온전선 ⑧ N-EV: 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네온전선 ⑨ N-V: 비닐절연 네온전선 ⑩ ACSR: 강심 알루미늄 연선 ⑪ CNCV-W: 동심 중성선 수밀형 전력케이블 ⑫ FR CNCO-W: 동심 중성선 수밀형 저독성 난연 케이블 ⑬ LPS: 300/500 V 연질 비닐 시스 케이블 ⑭ VCT: 0.6/1 kV 비닐절연 비닐 캡타이어 케이블 ​ Q NRI(70), NFI(70) A ① 300/500 V..

[전기기사 실기 단답-2] 수변전 설비 파트

Q 수배전반 설계 시 검토해야할 사항은? A ① 필요한 전력의 추정 ② 수전전압 및 수전방식 ③ 주회로의 결선방법 ④ 감시 및 제어방식 ⑤ 변전설비의 형식 ⑥ 변전설비의 위치와 면적 ​ Q 수변전 설비 에너지 절감 방안 A ① 고효율 변압기 채택 ② 변압기의 운전대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뱅크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운전관리를 통한 손실을 최소화 ③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 개선 ④ 최대 수요전력 제어 시스템 채택 ​ Q 배전반 감시제어기기 구성요소 A ① 감시기능 기기의 운전, 정지, 개폐의 상태를 표시하고 이상발생 시 고장부분의 표시 및 경보 ② 제어기능 기기를 수동, 자동의 상태로 변환 시키면서 운전시킬 수 있으며 정전, 화재, 천재지변 등의 이상 발생 시 제어할 수 있는 기능 ③ 계측제어 전류, 전..

[전기기사 실기 단답-1] 변압기 파트

Q 단상 변압기 병렬 운전조건 및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은? A ① 극성이 일치할 것 -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소손 ② 정격전압이 같을 것 - 순환 전류가 흘러 권선이 가열 ③ %임피던스 강하가 같은 것 - 부하의 분담이 용량의 비가 되지 않아 부하의 분담 불균형 ④ 내부 저항과 누설 리액턴스의 비가 같을 것 - 각 변압기 전류간 위상차 발생으로 동손 증가 ​ Q 몰드변압기 장,단점 A 장점 ① 자기 소화성이 우수하므로 화재의 염려가 없다. ② 코로나 특성 및 임펄스 강도가 높다. ③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④ 내습, 내구성이 강하고 내진성이 우수하다. ⑤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다. ⑥ 저진동 및 저소음이다. ⑦ 단시간 과부하 내량이 크다. ⑧ 전력손실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