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MCC(Motor Control Center) 기기 구성에 대표적 3가지
A
① 차단장치
② 기동장치
③ 제어 및 보호장치
Q
전동기 소손방지를 위한 과부하 보호장치의 종류
A
① 전동기용 퓨즈
② 열동계전기
③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④ 유도형 계전기
Q
저압전로 중의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 보호장치의 생략 가능한 경우
A
① 전동기를 운전 중 상시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시설하는 경우
②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로 보아 전동기가 손상될 수 있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경우
③ 단상 전동기로써 그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6A (배선 차단기는 20A) 이하인 경우
Q
3상 교류 전동기 보호 종류 5가지
A
① 결상보호
② 역상보호
③ 단락보호
④ 지락보호
⑤ 구속보호
Q
농형 유도전동기 기동법
A
① 전전압 기동법
② Y-△ 기동법
③리액터 기동법
④ 기동 보상기법
Q
기동보상기법 이란
A
기기의 수명과 경제적인 면을 고려할 경우 가장 적합한 전동기 기동 방식
Q
리액터 기동
A
전동기의 전원측에 직렬로 리액터를 접속하여 기동 시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압시켜 기동하는 방법
Q
농형 유도전동기 속도제어방법 3가지
A
① 극수 변환법
② 주파수 변환법
③ 전원 전압 제어법
Q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역상제동
A
전동기 급제동시 회전 중에 있는 전동기의 1차권선의 3단자중 임의의 2단자의 접속을 바꿔 전동기의 회전과 역방향의 토크를 발생시켜 제동하는 방법
Q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기동되지 않는 원인
A
① 3선 중 1선이 단선이 된 경우
② 큰 전압강하로 인한 기동토크의 부족
③ 기동기의 고장
④결선의 오접속 결선
⑤ 공극의 불균등
⑥ 고정자 권선 내부의 오접속, 코일의 단선 및 소손
⑦ 회전자 도체의 접속 불량
Q
단상유도전동기 기동방식
A
① 반발기동형
② 세이딩 코일형
③ 콘덴서 기동형
④ 분상 기동형
Q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려면?
A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바꾸어 결선한다.
Q
E종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는?
A
120℃
Q
동력부하 설비로 많이 사용되는 전동기의 합리적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
A
① 부하의 토크-속도 특성에 적합할 것
② 용도에 알맞은 기계적 형식일 것
③ 운전형식에 적당한 정격 및 냉각방식일 것
④ 사용 장소의 상황에 알맞은 보호방식일 것
Q
에너지 절약을 위한 동력설비의 대응방안
A
① 고효율 전동기 채용
② 부하역률 개선 (역률개선용 콘덴서를 전동기별로 설치)
③ 전동기 제어시스템 (VVVF 시스템) 적용
④ 에너지 절약형 공조기기 시스템 채택
⑤ 부하에 맞는 적정 용량의 전동기 선정
⑥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관리
Q
방폭형 전동기
A
지정된 폭발성 가스 중에서 사용에 적합하도록 특별히 고려된 전동기
Q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장치 필요 이유
A
단상 유도전동기는 회전자계가 생기지 않아 자기기동을 하지 못하므로 기동장치에 의해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기동하게 하기 위함이다.
Q
전동기 진동 발생 원인
A
기계적원인
① 기계적 언밸런스
② 베어링의 불량
③ 전동기의 설치불량
④ 부하기계와의 직결 불량
⑤ 부하기계로부터 오는 영향
전자적 원인
① 회전자의 편심
② 회전자 철심의 자기적 성질의 불균형
③ 고조파 자계에 의한 자기력의 불평형
Q
전동기 소음
① 기계적 소음
진동, 브러쉬의 습동, 베어링 등에 기인하는 소음
② 전자적 소음
철심의 주기적인 자력, 전자력에 의해 진동하며 발생되는 소음
③ 통풍 소음
팬, 회전자의 에어덕트 등 팬 작용으로 발생되는 소음
'공부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실기 단답-6] 접지 파트 (1) | 2021.04.03 |
---|---|
[전기기사 실기 단답-5] 전선로 파트 (0) | 2021.04.02 |
[전기기사 실기 단답-3] 전기공사 파트 (0) | 2021.04.01 |
[전기기사 실기 단답-2] 수변전 설비 파트 (0) | 2021.04.01 |
[전기기사 실기 단답-1] 변압기 파트 (4) | 2021.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