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기사 67

역률 개선 시 필요한 콘덴서 용량

역률이란? 역률이란 교류회로에서 유효전력과 피상전력과의 비를 나타냅니다. 직류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곱이 전력이 되지만 교류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곱은 피상전력이라고 하며 피상전력에 역률을 곱해주어야 비로소 전력이 됩니다. 교류에서는 전압이나 전류가 정현파 모양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위상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교류 전력에서는 세가지의 전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유효전력 실제로 일을 하고 있는 전력입니다. 2. 무효전력 낭비, 누설 되고 있는 전력입니다. 3. 피상전력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벡터합 입니다. 전력용 콘덴서란? 전력용 콘덴서란 역률 개선용 진상콘덴서로 Static Capacitor, SC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

3개소 점멸을 위한 배선도 그리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2번]

[문제] 전등을 한 계통의 3개소에서 점멸하기 위하여 3로 스위치 2개와 4로 스위치 1개로 조합하는 경우 이들의 계통도 (배선도) 를 그리시오. [관련 이론 및 용어정리] [전기기사/용어 및 이론] -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단로 스위치 및 3로, 4로 스위치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단로 스위치 및 3로, 4로 스위치 On/Off 역할로 쓰며 중, 고등학교 과학시간에 자주 사용했었던 가장 기본적인 스위치 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단로 스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모두들 한 번쯤 보셨던 익숙한 모양일 것입니다. 항 findahobby.tistory.com [답안] [의견] 3로-3로 혹은 3로-4로-3로인 2개소, 3개소 점멸 회로도만 이해해도 다른 스위치 배선 문제는 이제 식은죽 먹기일것..

단로 스위치 및 3로, 4로 스위치

On/Off 역할로 쓰며 중, 고등학교 과학시간에 자주 사용했었던 가장 기본적인 스위치 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단로 스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모두들 한 번쯤 보셨던 익숙한 모양일 것입니다. 항상 스위치, 스위치 하고 말은 해왔지만 단로스위치라는 이 단어는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단로 스위치란 單路-switch 로 길이 하나인 스위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 영어로 표현하자면 one way switch라고 할 수 있겠네요. 기호의 모양에서도 알 수 있듯이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가 short 되고 스위치를 떼면 open이 되는 역할이며 방향 등을 선택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단로 스위치의 뜻과 마찬가지로 3로, 4로 스위치도 각각 다음과 같은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로 스위치 - 3 way swit..

노무비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번]

[문제] 건물의 보수공사를 하는데 32[W]×2 매입 하면(下面) 개방형 형광등 30등을 32[W]×3 매입 루버형 형광등으로 교체 하고, 20[W]×2 펜던트 하면(下面) 개방형 형광등 20등을 20[W]×2 직부 하면(下面) 개방형 형광등으로 교체하였다. 철거되는 20[W]×2 펜던트 하면(下面) 개방형 형광등은 재사용 할 것이다. 천장 구멍 뚫기 및 취부테 설치와 등기구 보강 작업은 계산하지 않으며 공구손료 등을 제외한 직접 노무비만 계산하시오. 단 인공계산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구하고, 직접 노무비는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하시오. 내선전공의 노임은 225,408원으로 한다.) (단위: 등, 적용직종 : 내선전공) 종별 직부형 팬던트형 매입 및 반매입형 10[W] 이하 x 1 0.123 0...

노무비

노무비란 무엇일까요? 사전적 의미로 노무비란 제조활동과 관련되어 있는 인건비를 말합니다. 또한 노무비는 직접 노무비와 간접 노무비로 나뉘어집니다. 직접 노무비란? 노무비 중에서 공사현장에 직접 투입된 인력의 급료를 말합니다 간접 노무비란? 다수 제품에 공통으로 발생하는 노무비를 말한다. 특정제품의 소비액을 직접 파악하기 곤란한 것으로, 직접 건설공사에 종사하지는 않으나 작업 현장에서 보조 작업에 종사하는 노무자, 종업원, 현장감독자 또는, 품질시험관리인 등에게 지급하는 급료를 말합니다. 전기기사를 준비하면서 많이 접해본 형태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풍문으로 들은 소식에 의하면 노무비 문제는 공사 비용, 견적 등 전기공사기사에서 주로 출제되는 내용이라고 합니다. 전기기사 실기 준비를 하시는..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개념 및 2021년 변경사항

2021년부터 한국전기설비규정 중 일부가 바뀌어 전기기사 시험에도 바뀐 부분이 여럿 있습니다. 인터넷 강의를 듣는다면 변경사항에 대해서 미리 듣고 확인할 수 있었겠지만 저와같은 독학러는 비교적 갑작스럽게 맞닥뜨린 것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규정이 바뀌기 전인 작년에 합격을 했어야하는데....ㅠㅠ 이미 늦은거 그래도 변경된 내용을 확실히 알고 넘어가기위해 정리를 하였습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 개념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설명을 보자면 국제 표준이 되는 국제 전기기술 위원회 표준규정,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를 표준으로 해외 선진 규정 도입 및 국내 규정들을 정립하여 KEC 규정을 제정 및 적용합니다. K는 Ko..

전기기사실기 KEC 규정 관련 예상 문제

★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안전을 위한 보호의 기본 요구사항 ① 감전에 대한 보호 ② 열 영향에 대한 보호 ③ 과전류에 대한 보호 ④ 고장전류에 대한 보호 ⑤ 과전압 및 전자기 장애에 대한 대책 ⑥ 전원공급 중단에 대한 보호 ​ ★연료전지,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은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 (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을 충전부분과 대지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에 이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 ★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종류 ① 계통접지 ② 보호접지 ③ 피뢰시스템 접지 ​ ★ 접지시스템의 시설 종류 ① 단독접지 ② 공통접지 ③ 통합접지 ★ 전선의 규격 (KSC-IEC) 1.5 16 95 300 2.5 2..

전기기사 실기 1995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전등 3개소 점등회로 (3로 스위치 2개, 4로 스위치 1개) ◆ 송전선로로서 지중전선로를 채택하는 주요 이유 ① 도시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② 수용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③ 뇌,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④ 보안상의 제한조건 등으로 가공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 ◆ 지락 보호 계전기의 종류를 용도로 구분한 3가지 ① 지락 과전류 계전기 ② 지락 과전압 계전기 ③ 지락 방향 계전기 ​ ◆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시험 ◇ 회로도의 기기를 사용하여 동작시험을 하기 위한 단자접속 ①-④ ②-⑤ ③-⑨ ⑥-⑧ ⑦-⑩ ◇ 기기의 명칭 A - 물 저항기, B - 전류계, C - 사이클 카운터 ◇ 스위치 S2를 투입하고 행하는 시험 - 계전기 한시동..

전기기사 실기 1994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전력퓨즈의 기능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 시킨다. ②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 ◆ 전력퓨즈 사용상 장점 ① 소형, 경량이어서 설치 용이 ② 소형으로 큰 차단 용량을 가짐 ③ 고속 차단을 한다. ④ 보수가 간단하다. ​ ◆ CH, 케이블 헤드 케이블의 종단을 단심인 옥내선 또는 가공선에 접속할 때 수용지점(변전소)의 입상 부분 등에 사용 ​ ◆ PF, 전력 퓨즈 회로 및 기기의 단락 보호용으로 사용 ​ ◆ MOF,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하여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로 변성 ​ ◆ LA, 피뢰기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시키고 그 속류를 차단 ​ ◆ PT, 계기용 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계기나 계전기의 전압원으로 사용 ​ ..

전기기사 실기 1993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 ◆ 적외선 전구 ① 용도: 적외선에 의한 가열 및 건조 ② 세기: 주로 250W 사용 ③ 효율: 75% 정도 ④ 필라멘트의 절대온도: 2500˚K ⑤ 파장: 1~3 um ​ ​​ ◆ 부동충전방식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케 하는 방식. ​ ◆ 우선내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 부분으로서 통상의 강우 상태에서 비를 맞지 아니하는 부분을 말한다. ​ ◆ 열동계전기의 동작 과전류가 흐르면 열동계전기가 동작하여 그에 해당하는 접점이 개로된다. 접점의 복귀는 수동으로 한다. ​ ​ ◆ 변압기 효율이 떨어지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