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외선 전구
① 용도: 적외선에 의한 가열 및 건조
② 세기: 주로 250W 사용
③ 효율: 75% 정도
④ 필라멘트의 절대온도: 2500˚K
⑤ 파장: 1~3 um
◆ 부동충전방식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케 하는 방식.
◆ 우선내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 부분으로서 통상의 강우 상태에서 비를 맞지 아니하는 부분을 말한다.
◆ 열동계전기의 동작
과전류가 흐르면 열동계전기가 동작하여 그에 해당하는 접점이 개로된다. 접점의 복귀는 수동으로 한다.
◆ 변압기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① 역률 저하
② 경부하 운전
③ 부하변동이 심한 경우
◆ 저항 측정 방법 및 측정 계기
① 굵은 나전선의 저항-캘빈더블 브릿지
② 수천옴의 가는 전선의 저항-휘스톤 브릿지
③ 전해액의 저항-콜라우시브릿지
④ 옥내 전등선의 절연저항-메거
◆ 가동접속시
IR=IS=IT=I
◆ CH: 케이블헤드
◆ DS: 단로기
◆ ZCT: 영상변류기
◆ PT: 계기용 변압기
◆ VS: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
◆ TC: 트립코일
◆ CT: 변류기
◆ AS: 전류계용 전환개폐기
◆ Tr: 전력용 변압기
◆ SC: 전력용 콘덴서
◆ OCB: 유입차단기
◆ MOF: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 PCS(PS): 프라이머리 컷아웃 스위치
◆ OS: 유입 개폐기
◆ PL: 파일럿 램프
◆ WH: 적산 전력계
◆ LA: 피뢰기
◆ GR: 지락 계전기
◆ 전력퓨즈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과부하 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② 변압기 여자 돌입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③ 보호기기와 협조를 가질 것
④ 충전기 및 전동기 기동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 자가용 수용가에 설치되어야 할 계전기
① 과전류 계전기
② 주파수 계전기
③ 부족전압 계전기
④ 비율 차동 계전기
⑤ 과전압 계전기
◆ 중성점 접지저항기
지락사고 시 지락전류 억제 및 건전상 전위 상승 억제
◆ OCR: 과전류 계전기
◆ ZCT: 지락 과전류 계전기
◆ OVR: 과전압 계전기
◆ OVGR: 지락 과전압 계전기
◆ UVR: 부족전압 계전기
◆ DOCR: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
◆ 전기 재해의 종류
전기재해
① 감전(전력에 의한 실신, 전류 발열 작용에 의한 체온 상승으로 인한 사망)
② 아크의 복사열 등에 의한 화상
③ 전기화재
④ 전기설비의 손괴 및 기능 일시 정지
정전기 재해
① 감전(정전에 의한 불쾌감, 감전에 의한 2차 장해) 재해
② 설비 기능 저하 (정전기로 인한 흡입작용으로 생산 재해)
③ 정전기 화재 (불꽃 방전에 의한 화재)
낙뢰 재해
① 감전(뇌전류에 의한 실신 사망)
② 낙뢰 화재
③ 물체 손괴 (낙뢰에 의한 전기설비 및 물체 파괴
◆ 30F: 고장 표시기
◆ 50T: 단락,지락 선택 계전기
'공부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실기 1995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7 |
---|---|
전기기사 실기 1994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4 |
전기기사 실기 1992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2 |
전기기사 실기 1991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1 |
전기기사 실기 1990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