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전기기사 실기 1995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AhJustC 2021. 4. 17. 01:17
반응형
반응형

◆ 전등 3개소 점등회로 (3로 스위치 2개, 4로 스위치 1개)

◆ 송전선로로서 지중전선로를 채택하는 주요 이유

① 도시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② 수용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③ 뇌,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④ 보안상의 제한조건 등으로 가공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 지락 보호 계전기의 종류를 용도로 구분한 3가지

① 지락 과전류 계전기

② 지락 과전압 계전기

③ 지락 방향 계전기

◆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시험

◇ 회로도의 기기를 사용하여 동작시험을 하기 위한 단자접속

①-④ ②-⑤ ③-⑨ ⑥-⑧ ⑦-⑩

◇ 기기의 명칭

A - 물 저항기, B - 전류계, C - 사이클 카운터

◇ 스위치 S2를 투입하고 행하는 시험 - 계전기 한시동작 특성시험

◇ 스위치 S2를 개방하고 행하는 시험 - 계전기 최소동작 특성시험

◆ 부하율이 적다는 의미

① 공급 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② 평균 수요 전력과 최대 수요 전력과의 차가 커지게 되므로 부하 설비의 가동률이 저하된다.

◆ 6kV 수변전설비 결선도 예

◆ 무접점 릴레이와 비교할 때 전자 릴레이의 장, 단점

장점

① 과부하 내량이 크다.

② 온도특성이 좋다.

③ 전기적 잡음없이 입, 출력을 분리할 수 있다.

④ 가격이 싸다.

⑤ 부하가 큰 전력을 인출할 수 있다.

단점

① 소비 전력이 크다.

②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③ 응답속도가 느리다.

④ 가동 접촉부 수명이 짧다.

⑤ 충격, 진동에 약하다.

◆ 과젼류 계전기의 탭전류

2 3 4 5 6
7 8 10 12

◆ 축전지 부동충전

축전지의 자기 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케 하는 방식

◆ 축전기의 충전방식

① 세류충전

② 부동충전

③ 균등충전

④ 급속충전

⑤ 보통충전

⑥ 전자동충전

⑦ 보충충전

◆ 차단기 종류

① 유입차단기 (OCB)

② 진공차단기 (VCB)

③ 자기차단기 (MBB)

④ 공기차단기 (ABB)

⑤ 가스차단기 (GCB)

◆ 고압 이상에 사용되는 차단기

① 가스차단기

② 유입차단기

③ 진공차단기

◆ 대형 방전램프(HID Lamp)의 종류 5가지

① 고압 수은등

② 초고압 수은등

③ 고압 나트륨등

④ 고압 크세논 방전등

⑤ 메탈 핼라이드 램프

◆ DV -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

◆ CV1- 0.6/1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 OW -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 VV - 0.6/1 kV 비닐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 회복충전

정전류 충전법에 의하여 약한 전류로 40~50시간 충전시킨 후 방전시키고, 다시 충전시킨 후 방전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게 되면 본래의 출력 용량을 회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전방법을 회복충전이라 한다

◆ 공급 전력량 = mP X t (부하율X출력X시간)

◆ 동손 손실량 = m2Pc X t (부하율 자승X전부하동손X시간)

◆ 철손 손실량 = Pi X t (철손X시간)

◆ 레버와 작동시간은 비례

◆ 대용량 변압기의 이상이나 고장등을 확인 또는 감시할 수 있는 변압기 보호장치

① 유온계

② 방압장치

③ 부흐홀츠 계전기

④ 비율 차동 계전기

⑤ 충격 압력 계전기

◆ 2전력계법

◇ 전력 P = W1+W2

◇ 피상전력 Pa=√3 VI

◆ 전력퓨즈의 가장 큰 단점

① 재 투입을 할 수 없다.

② 동작시간, 전류특성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없다.

③ 비보호 영역이 있으며 사용중 열화하여 결상되기 쉽다.

◆ 계기용 변압기의 2차 전압: 110V

◆ 계기용 변류기의 2차 전류: 5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