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안전을 위한 보호의 기본 요구사항
① 감전에 대한 보호
② 열 영향에 대한 보호
③ 과전류에 대한 보호
④ 고장전류에 대한 보호
⑤ 과전압 및 전자기 장애에 대한 대책
⑥ 전원공급 중단에 대한 보호
★연료전지,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은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 (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을 충전부분과 대지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에 이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종류
① 계통접지
② 보호접지
③ 피뢰시스템 접지
★ 접지시스템의 시설 종류
① 단독접지
② 공통접지
③ 통합접지
★ 전선의 규격 (KSC-IEC)
1.5 | 16 | 95 | 300 |
2.5 | 25 | 120 | 400 |
4 | 35 | 150 | 500 |
6 | 50 | 185 | 630 |
10 | 70 | 240 | |
★ 보호 도체의 종류
① 다심케이블의 도체
② 충전도체와 같은 트렁킹에 수납된 절연도체 또는 나도체
③ 고정된 절연도체 또는 나도체
④ 전기적 연속성 및 도전성을 만족하는 금속케이블 외장, 케이블 차폐, 케이블 외장, 전선묶음 (편조전선), 동심도체, 금속관
★ 접지시스템에서 주접지단자에 연결되는 도체의 종류
① 등전위본딩도체
② 접지도체
③ 보호도체
④ 관련이 있는경우 기능성 접지도체
★ 공통접지
고압 및 특고압과 저압 전기설비의 접지극이 서로 근접하여 시설되어있는 변전소 또는 이와 유사한 곳에 시설하며 이들 접지극을 상호 접속
★ 통합접지
전기설비의 접지계통, 건축물의 피뢰설비, 전자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공용. 낙뢰에 의한 과전압 등으로부터 전기전가기기 등을 보호하기 위해 서지보호장치 설치
★ TN계통
전원 측의 한 점을 직접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부를 보호도체로 접속시키는 방식
★ TT계통
전원의 한 점을 직접 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부는 전원의 접지전극과 전기적으로 독립적인 접지극에 접속
★ IT계통
충전부 전체를 대지로부터 절연시키거나 한 점을 임피던스를 통해 대지에 접속
★ 한국전기설비규정은 인축에 대한 기본보호와 고장보호을 위한 필수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보호대책에 대해 쓰시오
① 전원의 자동차단
② 이중절연 또는 강화절연
③ 한 개의 전기사용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 분리
④ SELV와 PELV에 의한 특별 저압
★ 저압 옥내배선에서 중성선의 단면적은 최소한 선도체의 단면적 이상이어야 하는 경우
① 2선식 단상회로
② 선도체의 단면적이 구리선 16㎟, 알루미늄선 25㎟ 이하인 다상회로
③ 제 3 고조파 및 제 3 고조파에 홀수배수의 고조파 전류가 흐를 가능성이 높고 전류 종합 고조파왜형률이 15%~33%인 3상회로
★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 4가지
① 사다리형
② 펀칭형
③ 메시형
④ 바닥밀폐형
★ 저압 옥내 직류전기설비 접지목적과 시행장소
목적: 전로 보호장치의 확실한 동작 확보, 이상전압의 방지, 대지전압의 억제
장소: 직류2선식의 임의의 한 점, 변환장치의 직류측 중간점, 태양전지의 중간점 등을 접지
★ 비상용 예비전원설비는 싱용전원의 고장 또는 화재등으로 정전되었을 때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질환 시간에 따라 분류하시오
① 무순단: 과도시간 내에 전압 또는 주파수 변동 등 정해진 족건에서 연속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것
② 순단: 0.15초 이내 자동 전원공급이 가능한 것
③ 단시간 차단: 0.5초 이내자동 전원공급이 가능한 것
④ 보통차단: 5초 이내 자동 전원 공급이 가능한 것
⑤ 중간차단: 15초 이내 자동 전원공급이 가능한 것
⑥ 장시간 차단: 자동 전원공급이 15초 이후에 가능한 것
★ 지중전선로
① 직접 매설식으로 차령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는 장소: 1m
② 관료식의 경우: 1m
③ 직접 매설식: 중량물의 압력이 있는 경우 1.0m 이상 중량물의 압력이 없는경우 0.6m 이상 (견고한 트러프에 넣지 않아도 되는 케이블: 컴바인덕트 케이블)
④ 관로식: 중량물의 압력을 견디는 경우 1m 이상, 중량물의 압력이 없는 경우 0.6 이상
⑤ 암거식: 불연성, 지소성이 있는 난연성 피복
★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은폐장소 공사방법
① 합성수지관 공사
② 금속관 공사
③ 케이블 공사
★ 분산형 전원설비 사업자의 한 사업장의 설비용량 합계가 250 kVA 이상일 경우 송배전계통과 연계지점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여야 한다.이 경우 반드시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 시설하여야 한다.
★ 계통 연계하는 분산형 전원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다음에 해당하는 이상 또는 고장발생 시 자동적으로 분산형 전원설비를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 시설 및 해당 계통과의 보호협조를 실시하여야 한다. 자동차단을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는?
① 분산형 전원설비의 이상 또는 고장
② 연계한 전력계통의 이상 또는 고장
③ 단독 운전 상태
★ 계통접지
전력계통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 현상에 대비하여 계통을 연결하는 것으로 중성점을 대지에 접속하는것
★ 단독 운전
전력계통의 일부가 전력계통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분산형 전원에 의해서만 운전되는 상태
★ 리플프리직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리플성분의 실효값이 10% 이하로 포함된 직류
★ 보호도체
감전에대한 보호 등 안전을 위해 제공되는 도체
★서지보호장치
과도 과전압을 제한하고 서지전류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 특별저압
인체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저압
SELV(Safety Extra Low Voltage) 는 비접지 회로에 해당되며 PELV(Protective Extra Low voltage) 는 접지회로에 해당.
★ PEN 도체: 교류회로에서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
★ PEM도체: 직류회로에서 중간선 겸용 보호도체
★ PEL 도체: 직류회로에서 선도체 겸용 보호도체
★ 상도체 색상
전선의 식별 (KEC 121.2조)
상 | 색상 |
L1 | 갈색 |
L2 | 흑색 |
L3 | 회색 |
N | 청색 |
보호도체 | 녹색-노란색 |
★ 수용가 설비의 인입구로부터 기기까지의 전압강하
설비의 유형 | 조명 % | 기타 % |
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 3 | 5 |
고압 이상으로 수전하는 경우 | 6 | 8 |
'공부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무비 (0) | 2021.05.03 |
---|---|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개념 및 2021년 변경사항 (4) | 2021.04.27 |
전기기사 실기 1995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7 |
전기기사 실기 1994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4 |
전기기사 실기 1993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