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노무비

AhJustC 2021. 5. 3. 22:36
반응형

노무비란 무엇일까요?

사전적 의미로 노무비란 제조활동과 관련되어 있는 인건비를 말합니다. 또한 노무비는 직접 노무비와 간접 노무비로 나뉘어집니다. 

 

직접 노무비란?

노무비 중에서 공사현장에 직접 투입된 인력의 급료를 말합니다

간접 노무비란?

 

다수 제품에 공통으로 발생하는 노무비를 말한다. 특정제품의 소비액을 직접 파악하기 곤란한 것으로, 직접 건설공사에 종사하지는 않으나 작업 현장에서 보조 작업에 종사하는 노무자, 종업원, 현장감독자 또는, 품질시험관리인 등에게 지급하는 급료를 말합니다.

전기기사를 준비하면서 많이 접해본 형태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풍문으로 들은 소식에 의하면 노무비 문제는 공사 비용, 견적 등 전기공사기사에서 주로 출제되는 내용이라고 합니다. 전기기사 실기 준비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전기기사 기출복원 외에도 전기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등 관련 시험도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 기사에도 산업기사 문제가 자주 출제된 것 같습니다.

본론으로 돌아와 저희가 공사비용, 노무비와 관련된 내용을 접하게 된다면 열에 아홉은 직접노무비를 구할 것입니다. 어떠한 공사를 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나타내는 '인' 이라는 단위와 인부의 임금 단위 '원' 을 잘 파악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A 공사를 하는데에 3.5 [인] 이 필요하며 내선전공의 노임은 150,000 [원] 이라고 하면 이 공사에서 필요한 노무비는 3.5 X 150,000 으로 525,000 [원] 이 됩니다.

이 문제를 처음 접하게 되신다면 멘붕이 올 수도 있습니다. 공사관련 문제는 접해본적도 없거니와 문제는 왜 이렇게 길고 주어진 조건들은 너무 많으며 매입 상면, 매입 하면이니, 루버형이니, 펜던트형이니 듣도보도 못한 용어들이 수없이 나오며 어렵게 느끼고 심지어는 바로 포기하며 넘기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표에서 숫자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계산을 어떻게 하는지 이해만 한다면 짧은 시간에 쉽게 얻어먹을 수 있는 5점 문제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

문제가 너무 길고 복잡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문제에 답이 있는 쉬운 문제일 것입니다.

암기할 내용은 없을 뿐더러 몇번 풀어보면 금방 익숙해질 문제이니 여러번 반복하여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