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전기기사 실기 1994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AhJustC 2021. 4. 14. 21:39
반응형
반응형

◆ 전력퓨즈의 기능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 시킨다.

②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 전력퓨즈 사용상 장점

① 소형, 경량이어서 설치 용이

② 소형으로 큰 차단 용량을 가짐

③ 고속 차단을 한다.

④ 보수가 간단하다.

◆ CH, 케이블 헤드

케이블의 종단을 단심인 옥내선 또는 가공선에 접속할 때 수용지점(변전소)의 입상 부분 등에 사용

◆ PF, 전력 퓨즈

회로 및 기기의 단락 보호용으로 사용

◆ MOF,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하여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로 변성

◆ LA, 피뢰기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시키고 그 속류를 차단

◆ PT, 계기용 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계기나 계전기의 전압원으로 사용

 

 

 

 

◆ VS,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

3상 회로에서 각 상의 전압을 1개의 전압계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환 스위치

◆ CT, 계기용 변류기

대전류 및 고압 회로의 전류를 안전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고압 회로로부터 절연하여 소전류로 변환

◆ OCR, 과전류 계전기

과전류에 의해 동작하며 차단기 트립 코일 여자

◆ SC, 전력용 콘덴서

부하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

◆ Tr, 변압기

교류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지기기

 

◆ 연선의 공칭 단면적

1.5 2.5 4 6 10 16
25 35 50 70 95 120
150 185 240 300 400 500

◆ 단로기가 단로할 수 있는 전류

① 무부하시 충전전류

② 변압기 여자전류

◆ OW 전선: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 DV 전선: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

◆ FL 전선: 형광방전등용 비닐 전선

◆ 통전중인 변류기 2차측에 연결된 계기를 바꾸려고할 때 제일 먼저 취하여야 할 조치는?

2차측 단락- 변류기 2차측을 개방하면 1차전류가 모두 여자전류가 되어 2차측에 과전압 유기 및 절연이 파괴되어 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CT 2차측 기기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는 반드시 CT 2차측을 단락시켜야 한다.

◆ 고압 전동기 조작용 배전반 계전기

① 과부족전압 계전기

② 결상계전기

◆ 방전코일의 목적

①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를 방전시켜 잔류전하로 인한 인체의 감전사고 방지

② 재투입 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을 방지

◆ HID, 고휘도 방전램프 종류

고압 수은등, 고압 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등

◆ 전력퓨즈의 단점

① 재투입을 할 수 없다

② 과도 전류로 용단되기 쉽고 결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③ 동작시간, 전류특성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없다.

④ 비보호 영역이 있다

⑤ 차단시 이상전압이 발생한다.

◆ 주상변압기의 표준용량 (kVA)

1 2 3 5 7.5 10
15 20 25 30 40 50

 

 

 

◆ △-Y 결선 장단점

장점

① 2차 권선의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1/√3 이므로 절연이 유리하다.

② 1차가 △결선으로 여자전류의 통로가 있으므로 제 3 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③ Y결선으로 중성점 접지가 가능하다

단점

① 1차와 2차 선간전압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있다

② 1상에 고장이 생기면 전원공급이 불가능하가

◆ 축전기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등이 발생하였을 때 회복을 위해 실시하는 충전방식

회복 충전 방식

◆ Y-△ 기동이란

기동전압을 1/√3 으로 감소, 기동전류를 1/3 으로 감소시켜 기동특성을 개선한 기동법

◆ 잠동

무부하상태에서 정격주파수 및 정격전압의 110%를 인가하여 계기의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 방지대책

①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②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적산 전력계가 구비해야할 특성

① 옥내 및 옥외 설치가 적당한 것

② 온도나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④ 부하특성이 좋을 것

⑤ 과부하 내량이 클 것

◆ 축전지

① (전해액) 으로는 순수한 묽은 황산을 쓰고 그 농도는 (비중) 으로 나타낸다.

② (비중)은 방전초기에 (높)고 방전 종기에 (낮)으며 그 변화가 직선적이다.

③ 충전종료시 (비중)은 (1.215)가 되어야하며 방전에 의해서 0.03~0.05 정도의 변동이 생긴다.

④ 축전지가 충전상태로부터 규정된 방전종지전압이 될 때 까지 낼 수 있는 (전기량)을 축전지의 용량이라 하며 이것의 단위는 (Ah) 로 나타낸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방전시간에 대한 시간 방전율은 (10)시간 방전율을 표준으로 삼고있다.

◆ 감광보상율=1/보수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