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하설비의 역률이 90% 이하로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수 있는 손해
① 전력 손실이 커진다
② 전압 강하가 커진다
③ 전기 설비 용량이 증가한다
④ 전기 요금이 증가한다
◆ 역률 개선시 필요한 콘덴서 용량
Qc=P(tanθ1-tanθ2)
◆ △-Y결선 장단점
장점
① 2차 권선의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1/√3이므로 절연이 유리하다
② 1차가 △결선으로 여자전류의 통로가 있으므로 제 3 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③ Y결선으로 중성점 접지가 가능하다.
단점
① 1차와 2차 선간 전압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있다.
② 1상에 고장이 생기면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
◆ 정격 단시간 전류
정격 단시간 전류는 그 전류값을 규정된 회로 조건하에서 규정된 시간동안 차단기에 흘려도 차단기에 이상이 생기지 않는 전류를 말한다.
◆ 콘덴서 설치시 증가시킬 수 있는 전력
W=Pa(cosθ2-cosθ1)
◆ 소요되는 콘덴서의 용량 (=역률 개선시 필요한 용량)
Q=P(tanθ1-tanθ2)
◆ 피뢰기의 정격전압
전력계통 | 피뢰기의 정격전압 kV | ||
전압 kV | 중성점 접지방식 | 변전소 | 배전선로 |
345 | 유효접지 | 288 | |
154 | 유효접지 | 144 | |
66 | PC 접지 또는 비접지 | 72 | |
22 | PC 접지 또는 비접지 | 24 | |
22.9 | 3상 4선 다중접지 | 21 | 18 |
◆ 3상3선, 3상4선 불평형률 30%이하 원칙 예외
① 저압 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는 (100kVA) 이하의 단상 부하인 경우
③ 특고압 및 고압 수전에서는 단상 부하 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 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 수전에서는 (100kVA) 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 결선하는 경우
◆ 피뢰기 접지저항 크기
10Ω
◆ ZCT 설치 위치 시 접지선
① 전원측 설치 시
접지선을 ZCT 내로 관통시켜야만 지락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② 부하측에 ZCT 설치 시
접지선을 ZCT 내로 관통시키지 않아야 지락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공부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실기 1994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4 |
---|---|
전기기사 실기 1993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4 |
전기기사 실기 1991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1 |
전기기사 실기 1990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1 |
전기기사 실기 1989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