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압 전동기 조작용 배전반에 사용하는 계전기
과부족전압 계전기, 결상계전기
◆ 고압수전설비에서는 몰드형 계기용 변성기 사용
◆ 보호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계전기용 변류기는 차단기의 전원측에 설치
◆ 방전코일의 기능
콘덴서의 축적된 잔류전하를 방전시켜 인체 감전사고 방지.
재 투입 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 방지
◆ FUN=DES
F: 광송 [lm], U: 조명률 N: 조명등 수 D: 감광보상률 E: 평균조도 [lx] S: 면적 [㎡]
◆ 퓨즈의 기능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 보호
◆ 퓨즈의 특성
① 용단특성
② 단시간 허용특성
③ 전차단 특성
◆ 차단기 비교
회로분리 | 사고차단 | ||||
무부하 | 부하 | 과부하 | 단락 | ||
퓨즈 | O | | O | ||
차단기 | O | O | O | O | |
개폐기 | O | O | O | | |
단로기 | O | | | | |
전자접촉기 | O | O | O | |
◆ 역률 개선 시 증가시킬 수 있는 부하 = P(cosθ2-cosθ1)
◆ 분로리액터 (Sh.R): 페란티 현상 방지
◆ 모선 절체: 무정전으로 모선을 점검하기 위한 스위치
◆ 발전기 병렬운전 조건
기전력의
① 크기
② 위상
③ 주파수
④ 파형이 같을 것
◆ 건조한 장소, 습기진 장소, 노출 배선 설치, 은폐배선, 점검이 불가능한 장소 등에 적용 가능한 배선 방법
① 합성수지관 배선
② 금속관 배선
③ 비닐 피복 2종 가요 전선관 배선
④ 케이블 배선
◆ CH - 케이블 헤드
◆ MOF -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 DS - 단로기
◆ ZCT - 영상 변류기
◆ OS - 유입 개폐기
◆ LA - 피뢰기
◆ CB - 교류 차단기
◆ VS - 전압계용 전환개폐기
◆ AS - 전류계용 전환개폐기
◆ CS - 전력용 콘덴서
◆ 역률 개선 시 필요한 콘덴서 용량
Qc=P(tanθ1-tanθ2)
◆ KSC IEC규격-전선의 공칭 단면적
1.5 | 10 | 120 |
2.5 | 16 | 150 |
4 | 25 | 185 |
6 | 35 | 240 |
| 50 | 300 |
| 70 | 400 |
| 95 | 500 |
| | 630 |
◆ 경동선
경동선 고유저항률 1/55
경동선 도전률 96~98%
◆ 연동성
연동선 고유저항률 1/58
연동선 도전률 98~102%
◆ 단상변압기 표준 용량
1 | | | | |
| 15 | 150 | 1500 | 15000 |
2 | 20 | 200 | 2000 | 20000 |
3 | 30 | 300 | 3000 | 30000 |
5 | 50 | 500 | 5000 | 50000 |
7.5 | 75 | 750 | 7500 | |
10 | 100 | 1000 | 10000 | |
◆ 3상 변압기 표준 용량
15 | 150 | 1500 | 15000 | 150000 | |
20 | 200 | 2000 | 20000 | 200000 | |
250000 | |||||
3 | 30 | 300 | 3000 | 30000 | 300000 |
45000 | |||||
5 | 50 | 500 | 5000 | 50000 | |
7.5 | 75 | 750 | 7500 | 60000 | |
90000 | |||||
10 | 100 | 1000 | 10000 | 100000 |
◆ 부동 충전 방식
축전지의 자기 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사용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부담하게 하는 방식
'공부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실기 1991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1 |
---|---|
전기기사 실기 1990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11 |
전기기사 실기 1988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0) | 2021.04.07 |
[전기기사 실기 단답-13] 기타 단답 (0) | 2021.04.03 |
[전기기사 실기 단답-12] 감리 파트 (0) | 202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