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기사 67

동력 부하 설비 용량 및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구하기[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9번]

[문제] 3층 사무실용 건물에 3상 3선식의 6000 [V]를 200 [V] 로 강압하여 수전하는 설비이다. 각종 부하 설비가 표와 같을 때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답안] (1) 동계 난방 때 온수 순환 펌프는 상시 운전하고, 온수 순환 펌프는 수용률이 100 [%], 보일러용과 오일 기어 펌프의 수용률이 60 [%] 일 때 난방 동력 수용 부하는 몇 [kW] 인가? 6.84 [kW] [표 1] 의 동계동력 란에 있는 정보로 계산해본다면, 온수 순환 펌프 3.0 [kW]에 수용률 100 [%], 보일러 펌프 6 [kW]에 수용률 60 [%], 오일 기어 펌프 0.4 [kW]에 수용률 60 [%] 이므로 3.0 x 1 + 6.0 x 0.6 + 0.4 x 0.6 = 6.84 [kW] 입..

수전설비 단선도 관련 문제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7번]

[문제] 다음 수전설비 단선도를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단선도에 표시된 ① ASS의 최대 과전류 Lock 전류 값과 과전류 Lock 기능을 설명하시오. ①최대 과전류 Lock 전류 [A] : ②과전류 Lock 기능이란: (2) 단선도에 표시된 ② 피뢰기의 정격전압[kV]과 제 1 보호 대상을 쓰시오 ①정격전압[kV]: ②제1보호대상: (3) 단선도에 표시된 ③ 항류형 PF의 단점을 2가지만 쓰시오. (4) 단선도에 표시된 ④ MOF에 대한 과전류강도 적용기준으로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을 답란에 쓰시오. (5) 단선도에 표시된 ⑤ 변압기 2차 F점에서의 3상 단락전류와 선간(2상) 단락전류를 각각 구하시오. (단, 변압기 임피던스만 고려하고 기타 정수는 무시한다.) ① 3상 단락전류 ② 선..

코오니스 조명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6번]

[문제] 설계자가 크기, 형상 등 전체적인 조화를 생각하여 형광등기구를 벽면 상방 모서리에 숨계서 설치하는 방식으로서 기구로부터의 빛이 직접 벽면을 조명하는 건축화 조명의 명칭을 쓰시오. [답안] 코오니스 조명 아래는 코오니스 조명의 여러 예시입니다. 글로만 보는 것 보다 훨씬 눈에 잘 들어올 것입니다.

V 결선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5번]

[문제] 500 [kVA] 의 단상 변압기 3대로 Δ-Δ 결선되어 있고, 예비 변압기로서 단상 500 [kVA] 1대를 갖고 있는 변전소가 있다. 갑작스러운 부하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예비 변압기까지 사용하여 최대 몇 [kVA] 부하까지 공급할 수 있는지 구하시오. (단, 불평형을 고려하여 최적의 결선법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조건이다.) [답안] 변압기 3대의 Δ-Δ 결선과, 예비 변압기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을 것입니다. 총 4대의 변압기로 최대의 3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V-V 결선을 2 뱅크로 구성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 할 것입니다. 2 뱅크의 V-V 결선을 그림으로 나타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V-V 결선의 용량은 변압기 1대 용량의 루트 3배이며 2 뱅크가 있으므로, 계산식은 다..

Y결선, 델타결선에 따른 상전압, 상전류와 선간전압, 선간전류

발전기의 꽃(?)이라고나 해야할까요? 교류 3상 발전기의 결선의 종류와 그에 따른 상전압, 상전류와 선간전압, 선간전류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 결선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한다면 상전압, 선간전압 그리고 상전류, 선전류에 대해 헷갈리지 않고 계산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천천히 직접 그려보면서 이해하면 더 수월하게 받아들일 수 있으니 한번씩 그려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Y결선이란? Y결선은 3상의 교류변압기가 Y모양으로 결선이 되어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때에 따라 별모양의 결선이라고 하여 스타 결선, 성형 결선이라고도 부릅니다. Y결선의 상전류와 선간전류 변압기가 Y모양으로 결선 되어있습니다. 이 때 a상 변압기에 흐르는 전류를 상전류 라고 합니다. 이 전류는 선을 따라서 쭉..

소선의 가닥 수와 연선의 외경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4번]

[문제] 소선의 직경이 3.2 [mm]인 37가닥 연선의 외경은 몇 [mm]인지 구하시오. [관련 이론 및 용어정리] https://findahobby.tistory.com/37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소선의 가닥 수 자주 접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소선의 직경과 가닥수를 알려주며 연선의 외경을 구하라는 문제를 한번씩 접해본 적이 있으실겁니다. 이 문제 또한 대입하여 풀 수 있는 공식이 있으나 공식이 어 findahobby.tistory.com [답안] 37=3n(n+1)+1 이며 n=3, 즉 연선은 3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D=(2n+1)*d 이며 n=3을 대입하면 D=(2*3+1)*3.2=22.4 [mm] 입니다. 즉, 연선의 외경 D= 22.4 [mm] 입니다. [의견] 소선의 총 갯수가 ..

소선의 가닥 수

자주 접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소선의 직경과 가닥수를 알려주며 연선의 외경을 구하라는 문제를 한번씩 접해본 적이 있으실겁니다. 이 문제 또한 대입하여 풀 수 있는 공식이 있으나 공식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먼저 알아보면 몇년에 한번 나온 문제라도 까먹지 않으실 수 있을겁니다. 공식을 보기 전에 먼저 소선과 연선에 대해 이해해봅시다 소선이란? 소선(素線)이란 흴 소, 줄 선 으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소(素) 라는 뜻은 뽑은지 얼마 안된 실을 나타낸 것으로 순수하고 원초적인 것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직역을 해보자면 원초적인 선, 순수한 선 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으며 전기, 전자 분야에서 소선의 사전적인 의미는 절연체 따위를 씌우지 아니한 상태의 전선 이라고 합니다. 연선이란? 그렇다면 연선이란 무엇일까요?..

3상 유도전동기 역률과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3번]

[문제] 그림과 같은 평형 3상 회로로 운전하는 유도전동기가 있다. 이 회로에 그림과 같이 2개의 전력계 W1, W2, 전압계 V 전류계 A 를 접속하였더니 지시값은 W1= 2.9 [kW], W2= 6 [kW], V= 200 [V], A= 30 [A] 이었다. 이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이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몇 [%] 인지 구하시오. (2) 역률을 90 [%]로 개선시키려면 몇 [kVA] 용량의 콘덴서가 필요한지 구하시오. (3) 이 전동기로 만일 매분 20[m]의 속도로 물체를 권상한다면 몇 [ton] 까지 가능한지 구하시오. (단, 종합효율은 80[%] 로 한다. [관련 이론 및 용어정리] https://findahobby.tistory.com/33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단..

권상용 전동기란?

권상용 전동기란? 사전을 찾아보면 '권상기'란 다음 아래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평으로 된 원통상의 동체(胴體)를 손잡이로 돌리면서, 동체에 감긴 밧줄이나 쇠사슬의 한끝에 무거운 물건을 매달아 올렸다 내렸다 하거나 잡아당기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가 매일같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를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겠으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9.8은 중력가속도와 관련된 계수이며 분모에 있는 6.12는 9.8을 60으로 나눈 것입니다. 즉, 권상속도의 시간 단위가 초냐 분이냐에 따라 숫자가 달라질 뿐 공식이 바뀌는 것이 아니니 이점 유의하여 단위를 잘 파악하셔야 합니다. 물론 헷갈리는 여러 공식들 중 하나입니다만 펌프용 전동기 또한 비슷한 형태의 식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 가지만 숙지해놓..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