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기사 67

수용가의 부하율, 부등률 합성 최대 전력 등 [2020 전기기사 실기 2회 2번]

[문제] 어느 변전소에서 그림과 같은 일부하 곡선을 가진 3개의 부하 A, B, C의 수용가에 있을 때, 다음 각 물음에 대하여 답하시오. (단, 부하 A, B, C의 역률은 각각 100 [%], 80 [%], 60 [%] 라 한다.) [답안] (1) 합성 최대 전력 [kW]을 구하시오. 합성 최대 전력은 동 시간대의 A, B, C 수용가 전력들의 합이 최대가 되는 전력을 구하면 됩니다. 빨간 표시를 해놓은 부분이 합성 최대 전력이 되겠으며, 답은 20,000 [kW] 입니다. (2) 종합 부하율 [%]을 구하시오. 부하율이란 평균 전력을 최대 전력으로 나눈 값입니다. 각 수용가에 대한 하루 평균 전력들을 구하여 더한 뒤 합성 최대 전력으로 나눈 백분율 값이 종합 부하율이 됩니다. (3) 부등률을 구하시..

간선의 굵기 및 과전류 차단기와 개폐기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2회 1번]

[문제] 3.7 [kW]와 7.5 [kW]의 직입기동 3상 농형 유도전동기 및 22 [kW]의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 등 3대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다. 이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공사방법 B1으로 XLPE 절연전선을 사용하였으며 정격전압은 200 [V] 이고 간선 및 분기회로에 사용되는 전선 도체의 재질 및 종류는 같다.) [답안] (1) 간선에 사용되는 과전류 차단기와 개폐기 ① 의 최소용량은 몇 [A]인가? 선정 과정 3.7 + 7.5 + 22 = 33.2 [kW] 입니다. 해당 용량에 맞게 표 1 에서 "전동기 kW 수의 총계 (kW) 이하" 란에서 37.5 [kW] 행을 선택하고, "기동기 사용 전동기 중 최대 용량의 것" 에서 유도전동기 22 [kW]에 해당하는 열을 선택하여 겹치..

비오차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6번]

[문제] 공칭 변류비가 100/5 인 변류기(CT)의 1차에 250 [A] 가 흘렀을 경우 2차 전류가 10 [A] 였다면, 이때의 비오차 [%] 를 구하시오. [답안] 우선 문제에 나온 몇가지 용어를 정리하고 들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칭값이란? 설비나 기기의 성능, 동작량 등에 대하여 주어지는 명목상(혹은 분류상)의 값으로, 실제의 동작에서의 값과는 다르다고 합니다. 즉 공칭값은 실제 측정 값이 아니라는 것이죠. 비오차란? 공칭변류비와 측정변류비의 차이를 측정변류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문제에서 공칭 변류비와 측정 변류비를 알아내면 비오차를 알 수 있겠습니다. 먼저 공칭 변류비는 100/5=20 입니다. 측정 변류비는 250/10=25 입니다. 비오차는 (20-25)/25 x100 =..

지락사고 발생 시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 계산하기[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5번]

[문제] 다음 그림은 선로에 변류기 3대를 접속시키고 그 잔류회로에 지락계전기(DG)를 삽입 시킨 것이다. 변압기 2차측의 선로전압은 66[kV]이고, 중성점에 300[Ω] 의 저항접지로 하였으며, 변류기의 변류비는 300/5이다. 송전전력 20000 [kW], 역률 0.8 (지상)이고, a상에 완전 지락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답안] (1) 지락 계전기 DG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지락이 발생하게 되면 a상의 지면과 지락계전기 지면이 연결되어 한개의 회로를 만듭니다. 그 회로의 전압원은 상전압이므로 66/루트3 [kV] 이고 저항은 300 [Ω] 입니다. 옴의 법칙을 적용하여 지락전류 Ig를 구하면 127.02 A 입니다. 변류기의 변류비는 300/5 이므로 지락..

KEC341.13 피뢰기의 시설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4번]

[문제]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에는 피뢰기 또는 가공지선 등의 피뢰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 정의하는 피뢰기를 시설하여야 하는 장소를 3개소만 쓰시오. [답안] KEC 341.13 피뢰기의 시설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고압측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차동계전기 이해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2번]

[문제] 그림과 같이 차동계전기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는 3상 Δ-Y 결선 30 [MVA], 33/11 [kV] 변압기가 있다. 고장전류가 정격전류의 200 [%] 이상에서 동작하는 계전기의 전류(ir) 정정값을 구하시오. (단,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 CT의 변류비는 각각 500/5 [A], 2000/5 [A] 이다.) [답안] 우선 변압기 1차측, 2차측 전류 Ip, Is를 구해야 합니다. 변압기의 전압과 용량이 나와있으니 각각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차동계전기는 변압기의 결선과 반대로 연결합니다. 즉, 변압기가 Δ 결선이면 계전기는 Y 결선, 변압기가 Y 결선이면 계전기는 Δ 결선으로 연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is를 구할 때 Is 에 변류비를 곱해준 후 추가로 루트3배를 해주어 선전류를 구해야합..

축전지의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1번]

[문제] 그림과 같은 방전특성을 갖는 부하에 필요한 축전지 용량은 몇 [Ah] 인지 구하시오. 단, 방전전류 : I1=200 [A], I2=300 [A], I3=150 [A], I4=100 [A] 방전시간 : T1=130 [분], T2=120 [분], T3=40 [분], T4=5 [분] 용량환산시간 : K1=2.45, K2=2.45, K3=1.46, K4=0.45. 보수율은 0.7로 적용한다. [답안] 축전지의 용량은 방전특성 곡선의 면적을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만 방전시간, 용량환산시간에 대한 기준이 위의 그림과 다르게 각 구간별로 나타낸 것도 있습니다. 축의 기준이 달라져도 전체 면적을 구하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K x I 로 나타낸다고 하면 총 4가지 면적에 대해서 더해주고 빼주면 될 것입니다...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0번]

[문제] 계기용 변류기 (CT)를 선정할 때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때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의 관계식을 쓰시오. [답안] (1) 열적 과전류 강도 관계식 (단, Sn: 정격 과전류 강도 [kA], S: 통전시간 t초에 대한 열적 과전류강도, t: 통전시간 [sec] (2) 기계적 과전류 강도 관계식 열적 과전류 강도란? CT에 손상을 주지 않고 1초간 1차측에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를 말합니다. [kA] 실효치로 표시됩니다. 기계적 과전류 강도란? CT가 전자력에 의해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손상이 되지않은 1차측 전류의 파고치를 말합니다. 즉 기계적 과전류 강도는 열적 과전류 강도의 2.5배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