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산업기사 35

축전지의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1번]

[문제] 그림과 같은 방전특성을 갖는 부하에 필요한 축전지 용량은 몇 [Ah] 인지 구하시오. 단, 방전전류 : I1=200 [A], I2=300 [A], I3=150 [A], I4=100 [A] 방전시간 : T1=130 [분], T2=120 [분], T3=40 [분], T4=5 [분] 용량환산시간 : K1=2.45, K2=2.45, K3=1.46, K4=0.45. 보수율은 0.7로 적용한다. [답안] 축전지의 용량은 방전특성 곡선의 면적을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만 방전시간, 용량환산시간에 대한 기준이 위의 그림과 다르게 각 구간별로 나타낸 것도 있습니다. 축의 기준이 달라져도 전체 면적을 구하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K x I 로 나타낸다고 하면 총 4가지 면적에 대해서 더해주고 빼주면 될 것입니다...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0번]

[문제] 계기용 변류기 (CT)를 선정할 때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때 열적 과전류 강도와 기계적 과전류 강도의 관계식을 쓰시오. [답안] (1) 열적 과전류 강도 관계식 (단, Sn: 정격 과전류 강도 [kA], S: 통전시간 t초에 대한 열적 과전류강도, t: 통전시간 [sec] (2) 기계적 과전류 강도 관계식 열적 과전류 강도란? CT에 손상을 주지 않고 1초간 1차측에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를 말합니다. [kA] 실효치로 표시됩니다. 기계적 과전류 강도란? CT가 전자력에 의해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손상이 되지않은 1차측 전류의 파고치를 말합니다. 즉 기계적 과전류 강도는 열적 과전류 강도의 2.5배 입니다.

동력 부하 설비 용량 및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구하기[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9번]

[문제] 3층 사무실용 건물에 3상 3선식의 6000 [V]를 200 [V] 로 강압하여 수전하는 설비이다. 각종 부하 설비가 표와 같을 때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답안] (1) 동계 난방 때 온수 순환 펌프는 상시 운전하고, 온수 순환 펌프는 수용률이 100 [%], 보일러용과 오일 기어 펌프의 수용률이 60 [%] 일 때 난방 동력 수용 부하는 몇 [kW] 인가? 6.84 [kW] [표 1] 의 동계동력 란에 있는 정보로 계산해본다면, 온수 순환 펌프 3.0 [kW]에 수용률 100 [%], 보일러 펌프 6 [kW]에 수용률 60 [%], 오일 기어 펌프 0.4 [kW]에 수용률 60 [%] 이므로 3.0 x 1 + 6.0 x 0.6 + 0.4 x 0.6 = 6.84 [kW] 입..

코오니스 조명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6번]

[문제] 설계자가 크기, 형상 등 전체적인 조화를 생각하여 형광등기구를 벽면 상방 모서리에 숨계서 설치하는 방식으로서 기구로부터의 빛이 직접 벽면을 조명하는 건축화 조명의 명칭을 쓰시오. [답안] 코오니스 조명 아래는 코오니스 조명의 여러 예시입니다. 글로만 보는 것 보다 훨씬 눈에 잘 들어올 것입니다.

V 결선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5번]

[문제] 500 [kVA] 의 단상 변압기 3대로 Δ-Δ 결선되어 있고, 예비 변압기로서 단상 500 [kVA] 1대를 갖고 있는 변전소가 있다. 갑작스러운 부하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예비 변압기까지 사용하여 최대 몇 [kVA] 부하까지 공급할 수 있는지 구하시오. (단, 불평형을 고려하여 최적의 결선법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조건이다.) [답안] 변압기 3대의 Δ-Δ 결선과, 예비 변압기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을 것입니다. 총 4대의 변압기로 최대의 3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V-V 결선을 2 뱅크로 구성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 할 것입니다. 2 뱅크의 V-V 결선을 그림으로 나타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V-V 결선의 용량은 변압기 1대 용량의 루트 3배이며 2 뱅크가 있으므로, 계산식은 다..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개념 및 2021년 변경사항

2021년부터 한국전기설비규정 중 일부가 바뀌어 전기기사 시험에도 바뀐 부분이 여럿 있습니다. 인터넷 강의를 듣는다면 변경사항에 대해서 미리 듣고 확인할 수 있었겠지만 저와같은 독학러는 비교적 갑작스럽게 맞닥뜨린 것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규정이 바뀌기 전인 작년에 합격을 했어야하는데....ㅠㅠ 이미 늦은거 그래도 변경된 내용을 확실히 알고 넘어가기위해 정리를 하였습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 개념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설명을 보자면 국제 표준이 되는 국제 전기기술 위원회 표준규정,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를 표준으로 해외 선진 규정 도입 및 국내 규정들을 정립하여 KEC 규정을 제정 및 적용합니다. K는 Ko..

전기기사실기 KEC 규정 관련 예상 문제

★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안전을 위한 보호의 기본 요구사항 ① 감전에 대한 보호 ② 열 영향에 대한 보호 ③ 과전류에 대한 보호 ④ 고장전류에 대한 보호 ⑤ 과전압 및 전자기 장애에 대한 대책 ⑥ 전원공급 중단에 대한 보호 ​ ★연료전지,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은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 (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을 충전부분과 대지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에 이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 ★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종류 ① 계통접지 ② 보호접지 ③ 피뢰시스템 접지 ​ ★ 접지시스템의 시설 종류 ① 단독접지 ② 공통접지 ③ 통합접지 ★ 전선의 규격 (KSC-IEC) 1.5 16 95 300 2.5 2..

전기기사 실기 1995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전등 3개소 점등회로 (3로 스위치 2개, 4로 스위치 1개) ◆ 송전선로로서 지중전선로를 채택하는 주요 이유 ① 도시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② 수용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③ 뇌,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④ 보안상의 제한조건 등으로 가공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 ◆ 지락 보호 계전기의 종류를 용도로 구분한 3가지 ① 지락 과전류 계전기 ② 지락 과전압 계전기 ③ 지락 방향 계전기 ​ ◆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시험 ◇ 회로도의 기기를 사용하여 동작시험을 하기 위한 단자접속 ①-④ ②-⑤ ③-⑨ ⑥-⑧ ⑦-⑩ ◇ 기기의 명칭 A - 물 저항기, B - 전류계, C - 사이클 카운터 ◇ 스위치 S2를 투입하고 행하는 시험 - 계전기 한시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