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산업기사 35

전기기사 실기 1994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전력퓨즈의 기능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 시킨다. ②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 ◆ 전력퓨즈 사용상 장점 ① 소형, 경량이어서 설치 용이 ② 소형으로 큰 차단 용량을 가짐 ③ 고속 차단을 한다. ④ 보수가 간단하다. ​ ◆ CH, 케이블 헤드 케이블의 종단을 단심인 옥내선 또는 가공선에 접속할 때 수용지점(변전소)의 입상 부분 등에 사용 ​ ◆ PF, 전력 퓨즈 회로 및 기기의 단락 보호용으로 사용 ​ ◆ MOF,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하여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로 변성 ​ ◆ LA, 피뢰기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시키고 그 속류를 차단 ​ ◆ PT, 계기용 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계기나 계전기의 전압원으로 사용 ​ ..

전기기사 실기 1993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 ◆ 적외선 전구 ① 용도: 적외선에 의한 가열 및 건조 ② 세기: 주로 250W 사용 ③ 효율: 75% 정도 ④ 필라멘트의 절대온도: 2500˚K ⑤ 파장: 1~3 um ​ ​​ ◆ 부동충전방식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케 하는 방식. ​ ◆ 우선내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 부분으로서 통상의 강우 상태에서 비를 맞지 아니하는 부분을 말한다. ​ ◆ 열동계전기의 동작 과전류가 흐르면 열동계전기가 동작하여 그에 해당하는 접점이 개로된다. 접점의 복귀는 수동으로 한다. ​ ​ ◆ 변압기 효율이 떨어지는 ..

전기기사 실기 1991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파워(전력)퓨즈 장점 ① 가격이 싸다 ② 소형, 경량이다 ③ 릴레이나 변성기가 필요 없다 ④ 고속도 차단한다 ⑤ 소형으로 큰 차단용량을 갖는다 ​ ◆ 리액터의 용량 이론상 콘덴서의 4%, 실제상 콘덴서의 6% ​ ◆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 원인 ① 콘덴서 설비의 모선 단락 및 지락 ② 콘덴서 소체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③ 콘덴서 설비 내의 배선 단락 ​ ◆ ACB: 기중차단기- 저압회로에서 사용 ◆ ABB: 공기차단기- 특고압 회로(66kV)에서 사용 ​ ◆ 6600V급 주상변압기의 표준탭 5700, 6300, 6600 ​ ◆ 부등률 한 계통내의 각개의 단위부하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변동하므로 최대 수용전력의 생기는 시간이 다르고 이 시각이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값으로 항상 1보..

전기기사 실기 1990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전력퓨즈 단락사고 시 기기를 전로로부터 분리하여 사고 확대 방지 ◆ 개폐기 전동기 기동 정지 ◆ 직렬리액터 제 5 고조파 제거 ◆ 방전코일 잔류전하 방전 ◆영상변류기 지락사고 시 지락전류 검출 ​ ◆ 접지목적 ① 감전 방지 ② 기기의 손상 방지 ③ 보호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 ◆ 중요 접지 개소 ① 일반기기 및 제어반 외함 접지 ② 피뢰기 접지 ③ 피뢰침 접지 ④ 옥외 철구 및 경계책 접지 ⑤ 케이블 실드선 접지 ​ ◆ GR: 지락계전기 ◆ SGR: 선택지락계전기 ​ ◆ 전력퓨즈의 단점 ① 재투입을 할 수 없다. ② 과도전류에 용단되기 쉽고 결상을 일으키기 쉽다. ③ 동작시간, 전류특성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없다. ④ 비보호 영역이 있다. ⑤ 차단 시 이상전압이 발생한다. ​ ◆ 리액터 기동 방식 전..

[전기기사 실기 단답-13] 기타 단답

Q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 A 장점 ① 규모에 관계없이 발전효율이 일정하다 ② 태양 빛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설치할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하다. ③ 자원이 반영구적이다 ④ 확산광(산란광)도 이용할 수 있다 단점 ① 태양광의 에나지 밀도가 낮다. ② 비가오거나 흐린 날씨에는 발전 능력이 저하한다. ​ Q 풍력발전 시스템 특징 A ① 무공해 청정에너지이다. ② 운전 및 유지비용이 절감된다. ③ 풍력발전소 부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④ 화석연료를 대신하여 에너지 자원 고갈에 대비할 수 있다. ​ Q 발전기 병렬운전 가능 조건 4가지 A ①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③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④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 Q 동기발전기 병렬 운전 시 생기는 횡류 3가지..

[전기기사 실기 단답-12] 감리 파트

Q 감리원은 해당 공사 완료 후 준공검사 전에 공사업자로부터 시운전 절차를 준비토록 하여 시운전에 입회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시운전 완료 후 성과품을 공사업자로부터 제출받아 검토한 후 발주자에게 인계하여야할 사항 (서류 등) 을 쓰시오. A ① 운전 개시, 가동 절차 및 방법 ② 점검항목 점검표 ③ 운전 지침 ④ 기기류 단독 시운전 방법 검토 및 계획서 ⑤ 실가동 Diagram ⑥ 시험구분, 방법, 사용매체 검토 및 계획서 ​ Q 감리원은 매 분기마다 공사업자로부터 안전관리 결과 보고서를 제출 받아 이를 검토하고 미비한 사항이 있을 때에 시정조치 해야한다. 안전관리 결과보고서에 포함되어야하는 서류를 쓰시오 A ① 안전 보건 관리 체제 ② 안전 교육 실적표 ③ 안전 관리 조직표 ④ 재해 발생 현황 ⑤ 산..

[전기기사 실기 단답-11] 피뢰기 서지흡수기 파트

Q 피뢰기의 기능과 역할 A 기능: 이상전압의 내습 시 이를 신속하게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를 차단한다. 역할: 뇌전류 및 이상전압으로부터 전기기계기구를 보호한다. ​ Q 피뢰기의 구성요소 A 직렬 갭과 특성요소 ​ Q 피뢰기의 종류 A ① 갭 저항형 피뢰기 ② 갭 레스형 ③ 밸브형 피뢰기 ④ 밸브저항형 피뢰기 ​ Q 갭레스형 피뢰기의 특징 A ① 직렬갭이 없으므로 소형화,경량화 할 수 있다. ② 속류가 없어 빈번한 작동에도 잘 견딘다. ③ 속류에 대한 특성요소의 변화가 적다. ​ Q 피뢰기 제한전압 A 피뢰기 단자 간에 남게 되는 충격전압 ​ Q 피뢰기 정격전압 A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최고 교류전압 ​ Q 충격 방전 개시전압 A 피뢰기 단자간에 충격전압을 인가하였을 경우 방전을 개시하는 전압 ​ Q ..

[전기기사 실기 단답-8] 축전지 파트

Q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고압 발전기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반드시 시설되어야 할 것들이 4가지가 있다. 이것들을 모두 쓰고 시설기준을 설명하시오 A ① 개폐기: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의 각 극에 설치 ② 과전류 차단기: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의 각 극에 설치 ③ 전압계 각 상의 전압을 읽을 수 있도록 설치 ④ 전류계 각 선의 전류를 읽을 수 있도록 설치 ​ Q 인터록 A 상용전원과 예비전원 사이에는 병력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므로 수전용 차단기와 발전용 차단기 사이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 인터록을 시설해야하며 전환 개폐기를 사용해야한다. ​ Q 발전기실의 위치를 선정할 때 고려하여야할 사항 A ① 엔진기초는 건물기초와 관계없는 장소로 할 것 ② 발전기의 보수 점검 등..

[전기기사 실기 단답-7] 조명 파트

Q 조명 용어 A ① 광속 F[lm] 방사속중 빛으로 느끼는 부분 ② 광도 I[cd] 광원에서 어떤 방향에 대한 단위 입체각으로 발산되는 광속 ③ 조도 E[lx] 어떤 면의 단위 면적당의 입사 광속 ④ 휘도 B[sb], [nt] 광원의 임의의 방향에서 바라본 단위 투영 면적당의 광도 ⑤ 광원의 단위면적으로부터 발산하는 광속 ​ Q 전등효율 A 전력소비에 대한 전발산광속의 비율 ​​ Q 발광효율 A 방사속 φ에 대한 광속 F의 비율 ​ Q 색온도 A 어느 광원의 광색이 어느 온도의 흑체의 광색과 같을 때 그 흑체의 온도를 이 광원의 색온도라 한다. ​ Q 연색성 A 빛의 붗광 특성이 색의 보임에 미치는 효과를 말하며 동일한 색을 가진 것이라도 조명하는 빛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특성 ​ Q 감광보상률 A 조..

[전기기사 실기 단답-6] 접지 파트

※한국전기설비규정 KEC가 2021년부터 변경되었다고 하니 참고하여 기존 자료와 비교하자! ​ Q 대지전압 A ① 접지식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전압 ② 비접지식 전선과 그 전로 중 임의의 다른 전선 사이의 전압 ​ Q 접지의 목적 A ① 누전에 의한 감전 방지 ② 기기의 손상 방지 ③ 보호 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④ 이상전압의 억제 ​ Q 접지의 개소 A ① 일반기기 및 제어반 외함 접지 ② 피뢰기 접지 ③ 피뢰침 접지 ④ 옥외철구 및 경계책 접지 ⑤ 케이블 실드선 접지 ​ Q 계통 접지와 기기접지에 대한 접지목적 A ① 계통 접지 고압 전로와 저압전로가 혼촉 되었을 때 감전이나 화재 방지 ② 기기접지 누전되고 있는 기기에 접촉 시 감전 방지 ​ Q 공통접지 장,단점 A 장점 ① 접지극의 연접으로 합성 저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