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기사실기 46

권상용 전동기란?

권상용 전동기란? 사전을 찾아보면 '권상기'란 다음 아래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평으로 된 원통상의 동체(胴體)를 손잡이로 돌리면서, 동체에 감긴 밧줄이나 쇠사슬의 한끝에 무거운 물건을 매달아 올렸다 내렸다 하거나 잡아당기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가 매일같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를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겠으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9.8은 중력가속도와 관련된 계수이며 분모에 있는 6.12는 9.8을 60으로 나눈 것입니다. 즉, 권상속도의 시간 단위가 초냐 분이냐에 따라 숫자가 달라질 뿐 공식이 바뀌는 것이 아니니 이점 유의하여 단위를 잘 파악하셔야 합니다. 물론 헷갈리는 여러 공식들 중 하나입니다만 펌프용 전동기 또한 비슷한 형태의 식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 가지만 숙지해놓..

역률 개선 시 필요한 콘덴서 용량

역률이란? 역률이란 교류회로에서 유효전력과 피상전력과의 비를 나타냅니다. 직류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곱이 전력이 되지만 교류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곱은 피상전력이라고 하며 피상전력에 역률을 곱해주어야 비로소 전력이 됩니다. 교류에서는 전압이나 전류가 정현파 모양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위상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교류 전력에서는 세가지의 전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유효전력 실제로 일을 하고 있는 전력입니다. 2. 무효전력 낭비, 누설 되고 있는 전력입니다. 3. 피상전력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벡터합 입니다. 전력용 콘덴서란? 전력용 콘덴서란 역률 개선용 진상콘덴서로 Static Capacitor, SC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

3개소 점멸을 위한 배선도 그리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2번]

[문제] 전등을 한 계통의 3개소에서 점멸하기 위하여 3로 스위치 2개와 4로 스위치 1개로 조합하는 경우 이들의 계통도 (배선도) 를 그리시오. [관련 이론 및 용어정리] [전기기사/용어 및 이론] -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단로 스위치 및 3로, 4로 스위치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단로 스위치 및 3로, 4로 스위치 On/Off 역할로 쓰며 중, 고등학교 과학시간에 자주 사용했었던 가장 기본적인 스위치 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단로 스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모두들 한 번쯤 보셨던 익숙한 모양일 것입니다. 항 findahobby.tistory.com [답안] [의견] 3로-3로 혹은 3로-4로-3로인 2개소, 3개소 점멸 회로도만 이해해도 다른 스위치 배선 문제는 이제 식은죽 먹기일것..

단로 스위치 및 3로, 4로 스위치

On/Off 역할로 쓰며 중, 고등학교 과학시간에 자주 사용했었던 가장 기본적인 스위치 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단로 스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모두들 한 번쯤 보셨던 익숙한 모양일 것입니다. 항상 스위치, 스위치 하고 말은 해왔지만 단로스위치라는 이 단어는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단로 스위치란 單路-switch 로 길이 하나인 스위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 영어로 표현하자면 one way switch라고 할 수 있겠네요. 기호의 모양에서도 알 수 있듯이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가 short 되고 스위치를 떼면 open이 되는 역할이며 방향 등을 선택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단로 스위치의 뜻과 마찬가지로 3로, 4로 스위치도 각각 다음과 같은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로 스위치 - 3 way swit..

노무비

노무비란 무엇일까요? 사전적 의미로 노무비란 제조활동과 관련되어 있는 인건비를 말합니다. 또한 노무비는 직접 노무비와 간접 노무비로 나뉘어집니다. 직접 노무비란? 노무비 중에서 공사현장에 직접 투입된 인력의 급료를 말합니다 간접 노무비란? 다수 제품에 공통으로 발생하는 노무비를 말한다. 특정제품의 소비액을 직접 파악하기 곤란한 것으로, 직접 건설공사에 종사하지는 않으나 작업 현장에서 보조 작업에 종사하는 노무자, 종업원, 현장감독자 또는, 품질시험관리인 등에게 지급하는 급료를 말합니다. 전기기사를 준비하면서 많이 접해본 형태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풍문으로 들은 소식에 의하면 노무비 문제는 공사 비용, 견적 등 전기공사기사에서 주로 출제되는 내용이라고 합니다. 전기기사 실기 준비를 하시는..

전기기사실기 KEC 규정 관련 예상 문제

★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안전을 위한 보호의 기본 요구사항 ① 감전에 대한 보호 ② 열 영향에 대한 보호 ③ 과전류에 대한 보호 ④ 고장전류에 대한 보호 ⑤ 과전압 및 전자기 장애에 대한 대책 ⑥ 전원공급 중단에 대한 보호 ​ ★연료전지, 태양전지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은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 또는 1배의 교류전압 (500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500V)을 충전부분과 대지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에 이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 ★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종류 ① 계통접지 ② 보호접지 ③ 피뢰시스템 접지 ​ ★ 접지시스템의 시설 종류 ① 단독접지 ② 공통접지 ③ 통합접지 ★ 전선의 규격 (KSC-IEC) 1.5 16 95 300 2.5 2..

전기기사 실기 1995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전등 3개소 점등회로 (3로 스위치 2개, 4로 스위치 1개) ◆ 송전선로로서 지중전선로를 채택하는 주요 이유 ① 도시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② 수용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③ 뇌,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④ 보안상의 제한조건 등으로 가공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 ◆ 지락 보호 계전기의 종류를 용도로 구분한 3가지 ① 지락 과전류 계전기 ② 지락 과전압 계전기 ③ 지락 방향 계전기 ​ ◆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시험 ◇ 회로도의 기기를 사용하여 동작시험을 하기 위한 단자접속 ①-④ ②-⑤ ③-⑨ ⑥-⑧ ⑦-⑩ ◇ 기기의 명칭 A - 물 저항기, B - 전류계, C - 사이클 카운터 ◇ 스위치 S2를 투입하고 행하는 시험 - 계전기 한시동..

전기기사 실기 1993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 ◆ 적외선 전구 ① 용도: 적외선에 의한 가열 및 건조 ② 세기: 주로 250W 사용 ③ 효율: 75% 정도 ④ 필라멘트의 절대온도: 2500˚K ⑤ 파장: 1~3 um ​ ​​ ◆ 부동충전방식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케 하는 방식. ​ ◆ 우선내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 부분으로서 통상의 강우 상태에서 비를 맞지 아니하는 부분을 말한다. ​ ◆ 열동계전기의 동작 과전류가 흐르면 열동계전기가 동작하여 그에 해당하는 접점이 개로된다. 접점의 복귀는 수동으로 한다. ​ ​ ◆ 변압기 효율이 떨어지는 ..

전기기사 실기 1992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부하설비의 역률이 90% 이하로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수 있는 손해 ① 전력 손실이 커진다 ② 전압 강하가 커진다 ③ 전기 설비 용량이 증가한다 ④ 전기 요금이 증가한다 ​ ​​ ◆ 역률 개선시 필요한 콘덴서 용량 Qc=P(tanθ1-tanθ2) ​ ◆ △-Y결선 장단점 장점 ① 2차 권선의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1/√3이므로 절연이 유리하다 ② 1차가 △결선으로 여자전류의 통로가 있으므로 제 3 고조파의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③ Y결선으로 중성점 접지가 가능하다. 단점 ① 1차와 2차 선간 전압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있다. ② 1상에 고장이 생기면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 ​ ◆ 정격 단시간 전류 정격 단시간 전류는 그 전류값을 규정된 회로 조건하에서 규정된 시간동안 차..

전기기사 실기 1991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파워(전력)퓨즈 장점 ① 가격이 싸다 ② 소형, 경량이다 ③ 릴레이나 변성기가 필요 없다 ④ 고속도 차단한다 ⑤ 소형으로 큰 차단용량을 갖는다 ​ ◆ 리액터의 용량 이론상 콘덴서의 4%, 실제상 콘덴서의 6% ​ ◆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 원인 ① 콘덴서 설비의 모선 단락 및 지락 ② 콘덴서 소체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③ 콘덴서 설비 내의 배선 단락 ​ ◆ ACB: 기중차단기- 저압회로에서 사용 ◆ ABB: 공기차단기- 특고압 회로(66kV)에서 사용 ​ ◆ 6600V급 주상변압기의 표준탭 5700, 6300, 6600 ​ ◆ 부등률 한 계통내의 각개의 단위부하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변동하므로 최대 수용전력의 생기는 시간이 다르고 이 시각이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값으로 항상 1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