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산업기사실기 16

전기기사 실기 1991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파워(전력)퓨즈 장점 ① 가격이 싸다 ② 소형, 경량이다 ③ 릴레이나 변성기가 필요 없다 ④ 고속도 차단한다 ⑤ 소형으로 큰 차단용량을 갖는다 ​ ◆ 리액터의 용량 이론상 콘덴서의 4%, 실제상 콘덴서의 6% ​ ◆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 원인 ① 콘덴서 설비의 모선 단락 및 지락 ② 콘덴서 소체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③ 콘덴서 설비 내의 배선 단락 ​ ◆ ACB: 기중차단기- 저압회로에서 사용 ◆ ABB: 공기차단기- 특고압 회로(66kV)에서 사용 ​ ◆ 6600V급 주상변압기의 표준탭 5700, 6300, 6600 ​ ◆ 부등률 한 계통내의 각개의 단위부하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변동하므로 최대 수용전력의 생기는 시간이 다르고 이 시각이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값으로 항상 1보..

전기기사 실기 1989년도 공식 및 단답 요약

◆ 고압 전동기 조작용 배전반에 사용하는 계전기 과부족전압 계전기, 결상계전기 ​ ◆ 고압수전설비에서는 몰드형 계기용 변성기 사용 ​ ◆ 보호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계전기용 변류기는 차단기의 전원측에 설치 ​ ◆ 방전코일의 기능 콘덴서의 축적된 잔류전하를 방전시켜 인체 감전사고 방지. 재 투입 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 방지 ​ ◆ FUN=DES F: 광송 [lm], U: 조명률 N: 조명등 수 D: 감광보상률 E: 평균조도 [lx] S: 면적 [㎡] ​ ◆ 퓨즈의 기능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 보호 ◆ 퓨즈의 특성 ① 용단특성 ② 단시간 허용특성 ③ 전차단 특성 ​ ◆ 차단기 비교 회로분리 사고차단 무부하 부하 과부하 단락 퓨즈 O ​ ​O 차단기 O O O..

[전기기사 실기 단답-13] 기타 단답

Q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 A 장점 ① 규모에 관계없이 발전효율이 일정하다 ② 태양 빛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설치할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하다. ③ 자원이 반영구적이다 ④ 확산광(산란광)도 이용할 수 있다 단점 ① 태양광의 에나지 밀도가 낮다. ② 비가오거나 흐린 날씨에는 발전 능력이 저하한다. ​ Q 풍력발전 시스템 특징 A ① 무공해 청정에너지이다. ② 운전 및 유지비용이 절감된다. ③ 풍력발전소 부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④ 화석연료를 대신하여 에너지 자원 고갈에 대비할 수 있다. ​ Q 발전기 병렬운전 가능 조건 4가지 A ①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③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④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 Q 동기발전기 병렬 운전 시 생기는 횡류 3가지..

[전기기사 실기 단답-9] 콘덴서 파트

Q 역률 개선 원리 A 콘덴서에 의해 진상무효분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유도성 부하의 지상 무효전류를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 ​ Q 부하설비 역률이 90%이하로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수 있는 손해는? A ① 전력손실 증가 ② 전압강하 증가 ③ 부하용량이 증가 (설비용량의 여유 감소) ④ 전기요금 증가 ​ Q 콘덴서용량 결정의 상한값 A 콘덴서 용량 결정의 상한값은 부하의 지상 무효분의 전력값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 Q 경부하시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 결점 A ①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 손실이 생긴다. ② 모선 전압의 과상승 ③ 설비 용량 여력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④ 고조파 왜곡의 증대 ⑤ 계전기 오동작 ​ Q 전동기에 개별로 콘덴서를 설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자기여자 현상 A ..

[전기기사 실기 단답-8] 축전지 파트

Q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고압 발전기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반드시 시설되어야 할 것들이 4가지가 있다. 이것들을 모두 쓰고 시설기준을 설명하시오 A ① 개폐기: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의 각 극에 설치 ② 과전류 차단기: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의 각 극에 설치 ③ 전압계 각 상의 전압을 읽을 수 있도록 설치 ④ 전류계 각 선의 전류를 읽을 수 있도록 설치 ​ Q 인터록 A 상용전원과 예비전원 사이에는 병력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므로 수전용 차단기와 발전용 차단기 사이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 인터록을 시설해야하며 전환 개폐기를 사용해야한다. ​ Q 발전기실의 위치를 선정할 때 고려하여야할 사항 A ① 엔진기초는 건물기초와 관계없는 장소로 할 것 ② 발전기의 보수 점검 등..

[전기기사 실기 단답-4] 전동기 파트

Q MCC(Motor Control Center) 기기 구성에 대표적 3가지 A ① 차단장치 ② 기동장치 ③ 제어 및 보호장치 ​ Q 전동기 소손방지를 위한 과부하 보호장치의 종류 A ① 전동기용 퓨즈 ② 열동계전기 ③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④ 유도형 계전기 ​ Q 저압전로 중의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 보호장치의 생략 가능한 경우 A ① 전동기를 운전 중 상시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시설하는 경우 ②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로 보아 전동기가 손상될 수 있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경우 ③ 단상 전동기로써 그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6A (배선 차단기는 20A) 이하인 경우 ​ Q 3상 교류 전동기 보호 종류 5가지 A ① 결상보호 ② 역상보호 ③ 단락보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