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준비/강의 교육

KEC의 이해 - 한국전기공사협회 안전시공교육(시공관리책임자)

AhJustC 2024. 11. 6. 20:13
반응형
한국 전기설비 규정의 구성(KEC 102)

KEC 구성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기설비분야는 1~5장까지이며 모든 자격시험 및 검사기준이 이에 해당함.

제 1장
공통사항
제 2장
저압 전기설비
제 3장
고압 & 특고압 전기설비
제 4장
전기철도 설비
제 5장
분산형
전원설비
제 6장
발전형
화력설비
제 7장
발전형
수력설비
총칙 통칙 통칙 통칙 통칙 통칙 통칙
일반사항 안전을 위한
보호
안전을 위한
보호
전기철도의
전기방식
전기저장장치 보일러 및
부속설비
전선 전선로 접지설비 전기철도의
변전방식
태양광발전설비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수로
전로의 절연 배선 및
조명설비 등
전선로 전기철도의
전차선로
풍력발전설비 배관 및
부속설비
수차 및
기타설비
접지시스템 특수 설비 기계, 기구 시설 및 옥내배선 전기철도의
전기철도차량 설비
연료전지설비 중기터빈 및
부속설비
부속서
피뢰시스템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등의
전기설비
전기철도의
설비를 위한
보호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발전설비
용접시공
  전력보안
통신설비
전기철도의
안전을 위한
보호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발전설비
비파괴 검사
        액화가스
연로연소설비
 

 

전기설비 기준의 법적 근거와 KEC의 적용
  • 전기설비기술기준
    - 전기사업법 제 67조(기술기준), 동 시행령 제 43조(기술기준의 제정원칙)에 의거하여 산업통상부장관이 제정한 고시
    - 전기 안전을 위한 선언적 사항으로 행정명령
  • 판단 기준이 폐지되고, KEC 적용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하위 규정인 판단기준 폐지
    - 2022년 1월 1일부터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전면 적용
  • 내선규정 폐지
    - KEC와 같이 KEC 핸드북으로 대체
반응형
전압의 구분(KEC 111)
  • 국내 전기설비가 국제표준에 적합하게 제작, 설치됨에 따라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평가 등 관련 규정을 IEC 기준으로 개정함
  • 저압 및 고압의 전압범위 변경
전압 구분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변경 전) KEC (2021년 부터 변경)
저압 AC 600V 이하
DC 750V 이하
AC 1kV 이하
DC 1.5kV 이하
고압 AC 600V ~ 7kV
DC 750V ~ 7kV
AC 1kV ~ 7kV
DC 1.5kV ~ 7kV
특고압 7kV 초과 7kV 초과
  • 교류전압
    - 실효값으로 표시
    - 위험 및 절연에 충격을 주는 전압의 최대값은 √2배
    - 직류전압이 안전 및 절연에 유리
  • 직류전압
    - 리플(Ripple-free)프리로 리플성분 실효값이 10% 이하인 직류
    - 교류를 정류기로 전파정류하여 약간의 리플 발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