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준비/강의 교육

배선설비공사 - 한국전기공사협회 안전시공교육(시공관리책임자)

AhJustC 2024. 11. 8. 16:06
반응형
배선설비공사 분류
종류 공사 방법
전선관 시스템 - 합성수지관 공사
- 금속관 공사
- 가요전선관 공사
케이블 트렁킹 시스템 - 합성수지몰드 공사
- 금속몰드 공사
- 금속트렁킹 공사
- 금속 본체와 커버가 별도로 구성되어 커버를 개폐할 수 있는 금속덕트 공사
케이블 덕팅 시스템 - 플로어덕트 공사
- 셀룰러덕트 공사
- 금속덕트 공사
- 기계설비의 덕트공사 형태로 점검구에서만 점검이 가능한 공사
애자공사 - 애자 공사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 케이블 트레이 공사
케이블 공사 - 고정하지 않는 방법
- 직접 고정하는 방법
- 지지선 방법
합성수지관의 종류
  • 경질비닐 전선관(HI-VE)
  • 파상형 폴리에틸렌 가요전선관(FEP, ELP)
  •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CD)
  •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PF)
합성수지관공사 시설조건
  • 시설한 전선 등의 피복 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 합계가 합성수지관 내 단면적의 1/3 이하
  • 콤바인덕트관(CD)은 직접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시설하고, 옥내 전개된 장소(노출배관)에 시설
  • 이중천장 내 합성수지관 공사 금지
  • 이중천장 내에는 전선관시스템의 불연시공으로 금속관공사,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공사에 의함
    - 합성수지관공사가 아닌 케이블공사, 케이블 트레이공사 가능
    - 상가의 복도 등: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공사
    - APT등 주택: 케이블 공사

금속관 공사
  • 금속관 공사의 특징
    - 불연시공, 외부로부터 손상의 위험이 적음
    - 방폭 공사를 겸할 수 있고, 모든 장소에 적용 가능
  • 금속관의 두께 적용
    - 후강전선관은 2.3mm 이상의 두꺼운 전선관
    - 콘크리트에 매입 시 1.2mm 이상
    - 노출 시공 등은 1mm 이상
  • 금속 전선관의 종류
    - 후강전선관
    - 박강전선관
    - 나사없는 전선관
금속제 가요전선관 공사
  • 종류
    - 1종 금속가요전선관(Flexible Conduit)
    - 2종 금속가요전선관(Plica Tube)
  • 시공 기준
    - 가요전선관은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할 것
  • 1종 금속가요전선관 적용가능 장소
    -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 점검 불가능한 은폐장소에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는 조건
    - 2.5㎡ 이상의 나연동선을 삽입 또는 첨가
    - 4m 이하
    - 동력설비 말단시공은 방수형(수지 코팅)
    - 천정형 조명기구 시공은 비방수형
케이블 트레이공사
사다리형 펀칭형
메시형 바닥밀폐형
반응형
케이블 트레이 공사 시설기준
  • 난연성 케이블의 적용
    - 난연성CV (F-CV, FR-CV, TFR-CV), FR-8 등
  • 사용 방법
    - 고압, 저압, 통신용 및 제어용으로 구분 설치
    - 견고한 불연성의 격벽을 시설하는 경우 가능

케이블 트레이 폭 산정
  • 수평(수직)트레이에 단심, 다심 케이블 포설
    - 케이블의 완성품의 바깥지름의 합계는 트레이의 내측폭 이하로 하고 단층 시설

       - 단 삼각포설로 설치시 단심케이블 지름의 2배 이상 이격 포설

       - 신호, 통신용, 제어용 케이블 설치는 트레이 내단면적의 40% 이내로 시설

  • 벽면과의 간격은 20mm 이상, 트레이간 수직간격은 300mm이상 이격하여 설치
    - 단, 이보다 간격이 좁을 경우 저감계수 적용
  • PE(보호)도체, 예비회로 등 평상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선로는 2단 시공 가능
배선설비 관통부의 밀봉처리
  • 내화성능이 규정된 건축구조부(방화구획)를 관통하는 전선관, 케이블덕팅, 케이블트렁킹의 배선설비는 외적 밀봉뿐 아니라 내부적으로도 밀봉해야함
  • 내부 최대 단면적이 710㎟ (30mm 전선관)이하 전선관의 경우는 내부를 밀봉할 필요 없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