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준비/강의 교육

배선규격 - 한국전기공사협회 안전시공교육(시공관리책임자)

차카이브 2024. 11. 8. 23:03
반응형
허용전류 (KEC 232.5)
  • 전선이 정상상태에서 도체의 온도가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전선에 연속적으로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의 값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 (KEC 232.5.1)
절연물의 종류 케이블의 종류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
PVC 450/750V 비닐절연전선, VV 케이블 70℃
XLPE, EPR HFIX, EPR, F-CV, FR-8 90℃

 

허용전류의 결정 (KEC 232.5.2)
  • 공사방법 확인 (부속서A) 
시설 상태 공사 방법
케이블 공사 전선관
시스템
케이블
트렁킹
시스템
케이블
덕팅
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애자공사
고정하지 않음 직접 고정 지지선
케이블
채널
56 56 - 54, 55 30, 31
32, 34
-
지중 매설 72, 73 - 70, 71 - 70, 71 -
구조체
매입
57, 58 3 - 1, 2,
59, 60
50, 51
52, 53
46, 45 -

 

  • 허용전류를 구하기 위한 공사방법
공사방법 설명 허용전류 선정 표준 공사방법
단열벽 속에 매입한 전선관 내부의 절연전선 A1
단열벽 속에 매입한 전선관 내부의 다심 케이블 A2
노출 전선관 내부의 절연전선 또는 단심 케이블 B1
노출 전선관 내부의 다심 케이블 B2
반응형
  • 허용전류 결정
공사방법 설치방법
A1 단열벽 속의 전선관에 절연전선/단심케이블 설치
B1 구조체 매입(콘크리트, 조적 등), 전선관 노출배관, 금속덕트 등에 절연전선 설치
C 케이블을 직접 노출 배선
D1 지중 매설한 전선관 내에 케이블 설치
E 사다리형 케이블트레이 다심케이블 설치
F 사다리형 케이블트레이 단심케이블 설치
G 애자지지 나도체 또는 절연도체 설치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하 (KEC 232.3.9)
  • 전압강하란 전선에 전류를 흘리면 전선의 임피던스로 인하여 부하측 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함
설비 유형 조명(%) 기타(%) (동력설비)
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3 5
고압 이상으로 수전하는 경우 6 8
  • 전압강하 계산식
배전방식 전압강하 전선의 단면적
단상 2선식
3상 3선식
3상 4선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