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변류비 2

지락사고 검출 [2020 전기기사 실기 2회 4번]

[문제] 고압 선로에서의 접지사고 검출 및 경보장치를 그림과 같이 시설하였다. A선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원이 인가되고 경보벨의 스위치는 닫혀있는 상태라고 한다. [답안] (1) 1차측 A선의 대지 전압이 0 [V] 인 경우 B선 및 C선의 대지 전압은 각각 몇 [V] 인가? B선의 대지전압 : 6,600 [V] C선의 대지전압 : 6,600 [V] 선간전압은 6.6 [kV] 이므로 각 상의 전압은 루트3으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A상에는 지락사고가 발생하여 0V가 되면 나머지 B, C 상은 건전상의 루트3배가 되므로, B와 C의 대지전압은 6.6 [kV] 가 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단위는 [V] 이니 6,600 [V]로 쓰면 됩니다. (2) 2차측 전구 ⓐ의 전..

차동계전기 이해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2번]

[문제] 그림과 같이 차동계전기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는 3상 Δ-Y 결선 30 [MVA], 33/11 [kV] 변압기가 있다. 고장전류가 정격전류의 200 [%] 이상에서 동작하는 계전기의 전류(ir) 정정값을 구하시오. (단,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 CT의 변류비는 각각 500/5 [A], 2000/5 [A] 이다.) [답안] 우선 변압기 1차측, 2차측 전류 Ip, Is를 구해야 합니다. 변압기의 전압과 용량이 나와있으니 각각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차동계전기는 변압기의 결선과 반대로 연결합니다. 즉, 변압기가 Δ 결선이면 계전기는 Y 결선, 변압기가 Y 결선이면 계전기는 Δ 결선으로 연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is를 구할 때 Is 에 변류비를 곱해준 후 추가로 루트3배를 해주어 선전류를 구해야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