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어느 변전소에서 그림과 같은 일부하 곡선을 가진 3개의 부하 A, B, C의 수용가에 있을 때, 다음 각 물음에 대하여 답하시오. (단, 부하 A, B, C의 역률은 각각 100 [%], 80 [%], 60 [%] 라 한다.)
[답안]
(1) 합성 최대 전력 [kW]을 구하시오.
합성 최대 전력은 동 시간대의 A, B, C 수용가 전력들의 합이 최대가 되는 전력을 구하면 됩니다.
빨간 표시를 해놓은 부분이 합성 최대 전력이 되겠으며, 답은 20,000 [kW] 입니다.
반응형
(2) 종합 부하율 [%]을 구하시오.
부하율이란 평균 전력을 최대 전력으로 나눈 값입니다.
각 수용가에 대한 하루 평균 전력들을 구하여 더한 뒤 합성 최대 전력으로 나눈 백분율 값이 종합 부하율이 됩니다.
(3) 부등률을 구하시오.
부등률이란 각 수용가의 개별 최대 전력의 합을 합성 최대 전력으로 나눈 값입니다.
참고로 부등률이란 무조건 1보다 큰 값이며 부등률이 클 수록 서로 다른 시간대에 부하의 최대 전력이 발생한 다는 의미입니다.
(4) 최대 부하시의 종합 역률[%]을 구하시오.
최대 부하시 각 부하의 유효전력, 무효전력을 각각 더한 후 역률을 구하면 됩니다.
(5) A수용가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첨두부하는 몇 [kW]인가?
첨두 부하는 말 그대로 부하의 첨두치, 즉 부하가 최대인 값을 의미합니다.A 수용가의 첨두 부하는 9,000 [kW] - 첨두부하가 지속되는 시간은 몇 시 부터 몇 시 까지인가?
8시 ~ 12시 까지 첨두 부하가 유지됩니다. - 하루 공급된 전력량은 몇 [MWh]인가?
전력값 [kW] x 시간 [h] 를 곱하여 모두 더하면 됩니다.
이 때, 그래프의 기본 단위 및 위에서 구한 대부분의 값 단위는 [kW] 이지만, 문제의 단위는 MWh 이므로 유의합니다. 구하면 136 [MWh] 입니다.
반응형
'공부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락사고 검출 [2020 전기기사 실기 2회 4번] (0) | 2022.04.14 |
---|---|
손실계수와 손실전력 [2020 전기기사 실기 2회 3번] (0) | 2022.04.13 |
간선의 굵기 및 과전류 차단기와 개폐기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2회 1번] (0) | 2022.04.13 |
비오차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6번] (0) | 2022.04.13 |
지락사고 발생 시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 계산하기[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15번] (0) |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