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콘덴서 2

역률 개선 시 필요한 콘덴서 용량

역률이란? 역률이란 교류회로에서 유효전력과 피상전력과의 비를 나타냅니다. 직류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곱이 전력이 되지만 교류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곱은 피상전력이라고 하며 피상전력에 역률을 곱해주어야 비로소 전력이 됩니다. 교류에서는 전압이나 전류가 정현파 모양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위상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교류 전력에서는 세가지의 전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유효전력 실제로 일을 하고 있는 전력입니다. 2. 무효전력 낭비, 누설 되고 있는 전력입니다. 3. 피상전력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벡터합 입니다. 전력용 콘덴서란? 전력용 콘덴서란 역률 개선용 진상콘덴서로 Static Capacitor, SC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

[전기기사 실기 단답-9] 콘덴서 파트

Q 역률 개선 원리 A 콘덴서에 의해 진상무효분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유도성 부하의 지상 무효전류를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 ​ Q 부하설비 역률이 90%이하로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수 있는 손해는? A ① 전력손실 증가 ② 전압강하 증가 ③ 부하용량이 증가 (설비용량의 여유 감소) ④ 전기요금 증가 ​ Q 콘덴서용량 결정의 상한값 A 콘덴서 용량 결정의 상한값은 부하의 지상 무효분의 전력값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 Q 경부하시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 결점 A ①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 손실이 생긴다. ② 모선 전압의 과상승 ③ 설비 용량 여력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④ 고조파 왜곡의 증대 ⑤ 계전기 오동작 ​ Q 전동기에 개별로 콘덴서를 설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자기여자 현상 A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