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권상기 2

3상 유도전동기 역률과 역률 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구하기 [2020 전기기사 실기 1회 3번]

[문제] 그림과 같은 평형 3상 회로로 운전하는 유도전동기가 있다. 이 회로에 그림과 같이 2개의 전력계 W1, W2, 전압계 V 전류계 A 를 접속하였더니 지시값은 W1= 2.9 [kW], W2= 6 [kW], V= 200 [V], A= 30 [A] 이었다. 이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이 유도전동기의 역률은 몇 [%] 인지 구하시오. (2) 역률을 90 [%]로 개선시키려면 몇 [kVA] 용량의 콘덴서가 필요한지 구하시오. (3) 이 전동기로 만일 매분 20[m]의 속도로 물체를 권상한다면 몇 [ton] 까지 가능한지 구하시오. (단, 종합효율은 80[%] 로 한다. [관련 이론 및 용어정리] https://findahobby.tistory.com/33 [전기기사 실기 용어 및 이론] 단..

권상용 전동기란?

권상용 전동기란? 사전을 찾아보면 '권상기'란 다음 아래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평으로 된 원통상의 동체(胴體)를 손잡이로 돌리면서, 동체에 감긴 밧줄이나 쇠사슬의 한끝에 무거운 물건을 매달아 올렸다 내렸다 하거나 잡아당기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가 매일같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를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겠으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9.8은 중력가속도와 관련된 계수이며 분모에 있는 6.12는 9.8을 60으로 나눈 것입니다. 즉, 권상속도의 시간 단위가 초냐 분이냐에 따라 숫자가 달라질 뿐 공식이 바뀌는 것이 아니니 이점 유의하여 단위를 잘 파악하셔야 합니다. 물론 헷갈리는 여러 공식들 중 하나입니다만 펌프용 전동기 또한 비슷한 형태의 식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 가지만 숙지해놓..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