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렉션 프레임워크
컬렉션이런 여러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컬렉션을 다루는데에 있어 편리한 메서드들을 미리 정의해 놓은 것을 컬렉션 프레임워크라고 한다.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특정 자료구조에 데이터를 추가하고, 삭제하고, 수정하고, 검색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편리한 메서드들을 제공해준다.
컬렉션 프레임워크 구조
주요 인터페이스로 List, Set, Map 을 제공한다.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List
- List는 데이터의 순서가 유지되며, 중복 저장이 가능한 컬렉션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된다.
- ArrayList, Vector, Stack, LinkedList 등이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Set
- Set은 데이터의 순서가 유지되지 않으며, 중복 저장이 불가능한 컬렉션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된다.
- HashSet,TreeSet 등이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Map
- Map은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컬렉션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된다.
- 데이터의 순서가 유지되지 않으며, 키는 값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중복 저장이 불가능하지만, 값은 중복 저장이 가능하다.
- HashMap, HashTable, TreeMap, Properties 등
이 셋중 List와 Set은 서로 공통점이 많아 위 그림과 같이 Collection 이라는 인터페이스로 묶인다. 즉 이 둘의 공통점이 추출되어 추상화 된 것이 바로 Collection 이라는 인터페이스이다.
Collection 인터페이스
기능리턴 타입메서드설명
기능 | 리턴타입 | 메서드 | 설명 |
객체 추가 | boolean | add(Object o) / addAll(Collection c) |
주어진 객체 및 컬렉션의 객체들을 컬렉션에 추가합니다. |
객체 검색 | boolean | contains(Object o) / containsAll(Collection c) | 주어진 객체 및 컬렉션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리턴합니다. |
Iterator | iterator() | 컬렉션의 iterator를 리턴합니다. | |
boolean | equals(Object o) | 컬렉션이 동일한지 확인합니다. | |
boolean | isEmpty() | 컬렉션이 비어있는지를 확인합니다. | |
int | size() | 저장된 전체 객체 수를 리턴합니다. | |
객체 삭제 | void | clear() | 컬렉션에 저장된 모든 객체를 삭제합니다. |
boolean | remove(Object o) / removeAll(Collection c) | 주어진 객체 및 컬렉션을 삭제하고 성공 여부를 리턴합니다. | |
boolean | retainAll(Collection c) | 주어진 컬렉션을 제외한 모든 객체를 컬렉션에서 삭제하고, 컬렉션에 변화가 있는지를 리턴합니다. | |
객체 변환 | Object[] | toArray() | 컬렉션에 저장된 객체를 객체배열(Object [])로 반환합니다. |
Object[] | toArray(Object[] a) | 주어진 배열에 컬렉션의 객체를 저장해서 반환합니다. |
List
List 인터페이스는 배열과 같이 객체를 일렬로 늘어놓은 구조로 되어있다. 객체를 인덱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객체를 저장하면 자동으로 인덱스가 부여되고 인덱스로 객체를 검색, 추가, 삭제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기능리턴 타입메서드설명
기능 | 리턴 타입 | 메서드 | 설명 |
객체 추가 | void | add(int index, Object element) | 주어진 인덱스에 객체를 추가 |
boolean | addAll(int index, Collection c) | 주어진 인덱스에 컬렉션을 추가 | |
Object | set(int index, Object element) | 주어진 위치에 객체를 저장 | |
객체 검색 | Object | get(int index) | 주어진 인덱스에 저장된 객체를 반환 |
int | indexOf(Object o) / lastIndexOf(Object o) | 순방향 / 역방향으로 탐색하여 주어진 객체의 위치를 반환 | |
ListIterator | listIterator() / listIterator(int index) | List의 객체를 탐색할 수 있는 ListIterator 반환 / 주어진 index부터 탐색할 수 있는 ListIterator 반환 | |
List | subList(int fromIndex, int toIndex) | fromIndex부터 toIndex에 있는 객체를 반환 | |
객체 삭제 | Object | remove(int index) | 주어진 인덱스에 저장된 객체를 삭제하고 삭제된 객체를 반환 |
boolean | remove(Object o) | 주어진 객체를 삭제 | |
객체 정렬 | void | sort(Comparator c) | 주어진 비교자(comparator)로 List를 정렬 |
ArrayList
ArrayList는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로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기능적으로는 Vector와 동일하지만 기존의 Vector를 개선한 것으로 Vector보다는 주로 ArrayList를 사용한다.
ArrayList에 객체를 추가하면 객체가 인덱스로 관리된다는 점에서 배열과 유사하다. 그러나 배열은 생성될 때 크기가 고정되며 크기를 변경할 수 없는 반면, ArrayList는 저장 용량을 초과하여 객체들이 추가되면 자동으로 저장용량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리스트 계열 자료구조의 특성을 이어받아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존재한다. 즉 데이터의 순서를 유지한다.
ArrayList<타입 매개변수> 객체명 = new ArrayList<타입 매개변수>(초기 저장 용량);
ArrayList<String> container1 = new ArrayList<String>();
// String 타입의 객체를 저장하는 ArrayList 생성
// 초기 용량이 인자로 전달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10으로 지정됩니다.
ArrayList<String> container2 = new ArrayList<String>(30);
// String 타입의 객체를 저장하는 ArrayList 생성
// 초기 용량을 30으로 지정하였습니다.
ArrayList에 객체를 추가하면 인덱스 0부터 차례대로 저장된다. 그리고 특정 인덱스의 객체를 제거하면 바로 뒤 인덱스부터 마지막 인덱스까지 모두 앞으로 1씩 당겨진다.
public class ArrayLis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ArrayList를 생성하여 list에 할당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String>();
// String 타입의 데이터를 ArrayList에 추가
list.add("Java");
list.add("egg");
list.add("tree");
// 저장된 총 객체 수 얻기
int size = list.size();
// 0번 인덱스의 객체 얻기
String skill = list.get(0);
// 저장된 총 객체 수 만큼 조회
for(int i = 0; i < list.size(); i++){
String str = list.get(i);
System.out.println(i + ":" + str);
}
// for-each문으로 순회
for (String str: list) {
System.out.println(str);
}
// 0번 인덱스 객체 삭제
list.remove(0);
}
}
위의 코드는 ArrayList에 String 객체를 추가, 검색, 삭제하는 예제이다.
LinkedList
LinkedList 컬렉션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추가, 삭제, 변경하기 위해 사용한다. 배열에는 모든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존재하지만, LinkedList에는 불연속적으로 존재하며, 이 데이터는 서로 연결(link) 되어 있다.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듯 LinkedList의 각 요소들은 자신과 연결된 이전 요소 및 다음 요소의 주소값과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LinkedList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려면 삭제하고자 하는 요소의 이전 요소가 삭제하고자 하는 요소의 다음 요소를 참조하도록 변경하면 된다. 링크를 끊어주는 방식이다. 배열처럼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해 복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훨씬 빠르다.
public class LinkedLis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Linked List를 생성하여 list에 할당
LinkedList<String> list = new LinkedList<>();
// String 타입의 데이터를 LinkedList에 추가
list.add("Java");
list.add("egg");
list.add("tree");
// 저장된 총 객체 수 얻기
int size = list.size();
// 0번 인덱스의 객체 얻기
String skill = list.get(0);
// 저장된 총 객체 수 만큼 조회
for(int i = 0; i < list.size(); i++){
String str = list.get(i);
System.out.println(i + ":" + str);
}
// for-each문으로 순회
for (String str: list) {
System.out.println(str);
}
// 0번 인덱스 객체 삭제
list.remove(0);
}
}
ArrayList와 LinkedList 차이
위 그림은 ArrayList에서 데이터를 추가하는 상황을 나타낸 그림이다. ArrayList에 객체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때에는 데이터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속도가 빠르지만, 중간에 위치한 객체를 추가 및 삭제할 때는 데이터 이동이 많이 일어나므로 속도가 저하된다.
반면 인덱스가 n인 요소의 주소값을 얻기 위해서는 배열의 주소 + n*데이터 타입의 크기를 계산하여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색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ArrayList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강점을 지닌다.
-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 순차적으로 추가한다는 것은 0번 인덱스에서부터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 순차적으로 삭제한다는 것은 마지막 인덱스에서부터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 데이터를 불러오는 경우
- 인덱스를 통해 바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검색이 빠름.
다음과 같은 상황은 ArrayList가 효율적이지 못하다.
- 중간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중간에 위차하는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
- 추가 또는 삭제 시 해당 데이터의 뒤에 위치한 값들을 뒤로 밀어주거나 앞으로 당겨주어야 한다.
이제 LinkedList의 특성을 살펴보자.
위 그림은 내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동작이 이루아진다.
- Mango 객체가 생성된다
- Apple의 Next에 Mango의 주소값이 저장된다.
- 이 때 Mango의 Prev에 Apple의 주소값이 저장된다. - Mango의 Next에 Orange의 주소값이 저장된다.
- 이 때 Orange의 Prev에 Mango의 주소값이 저장된다.
LinkedList의 중간에 데이터를 추가하면 Next와 Prev에 지정되어 있는 주소값만 변경해주면 되므로 각 요소를 ArrayList처럼 뒤로 밀어내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중간에 위치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로 요소들을 앞으로 당기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중간에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LinkedList는 ArrayList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준다.
LinkedList가 강점을 가지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 중간에 위차하는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 데이터를 중간에 추가하는 경우 Prev와 Next의 주소값만 변경하면 되므로 다른 요소들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결론적으로 데이터의잦은 변경이 예상된다면 LinkedList를, 데이터릐 개변수가 변하지 않는다면 ArrayList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Iterator
Iterator는 컬렉션에 저장된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읽어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Iterator의 컬렉션 순회 기능은 Iterator 인터페이스에 정의되어 있으며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는 Itera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메서드인 iterator()가 정의되어 있다. 즉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iterator() 를 호출하면 Iterator 타입의 인스턴스가 반환된다.
따라서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List와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들은 iterator()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메서드 | 설명 |
hasNext() | 읽어올 객체가 남아 있으면 true를 리턴하고, 없으면 false를 리턴합니다. |
next() | 컬렉션에서 하나의 객체를 읽어옵니다. 이때, next()를 호출하기 전에 hasNext()를 통해 읽어올 다음 요소가 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remove() | next()를 통해 읽어온 객체를 삭제합니다. next()를 호출한 다음에 remove()를 호출해야 합니다. |
Iterator를 활용하여 컬렉션의 객체를 읽어올 때는 next() 메서드를 사용한다. next() 메서드를 사용하기 전에는 먼저 가져올 객체가 있는지 hasNext()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 hasNext() 메서드는 읽어올 다음 객체가 있으면 true를 리턴하고 더 이상 가져올 객체가 없으면 false를 리턴한다. 따라서 true가 리턴될 때만 next()메서드가 동작하도록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ArrayList<String> list = ...;
Iterator<String> iterator = list.iterator();
while(iterator.hasNext()) { // 읽어올 다음 객체가 있다면
String str = iterator.next(); // next()를 통해 다음 객체를 읽어옵니다.
...
}
Iterator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for-each 문을 이용해서 전체 객체를 대상으로 반복할 수 있다.
ArrayList<String> list = ...;
for(String str : list) {
...
}
next() 메서드로 가져온 객체를 컬렉션에서 제거하고 싶다면 remove() 메서드를 호출하면 된다. next() 메서드는 컬렉션의 객체를 그저 읽어오는 메서드로 실제 컬렉션에서 객체를 빼내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remove() 메서드는 컬렉션에서 실제로 객체를 삭제한다.
ArrayList<String> list = ...;
Iterator<String> iterator = list.iterator();
while(iterator.hasNext()){ // 다음 객체가 있다면
String str = iterator.next(); // 객체를 읽어오고,
if(str.equals("str과 같은 단어")){ // 조건에 부합한다면
iterator.remove(); // 해당 객체를 컬렉션에서 제거합니다.
}
}
Set
Set은 요소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저장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컬렉션이다. 대표적인 Set을 구현한 클래스에는 HashSet, TreeSet이 있다.
기능 | 리턴 타입 | 메서드 | 설명 |
객체 추가 | boolean | add(Object o) | 주어진 객체를 추가하고, 성공하면 true를, 중복 객체면 false를 반환합니다. |
객체 검색 | boolean | contains(Object o) | 주어진 객체가 Set에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 |
boolean | isEmpty() | Set이 비어있는지 확인합니다. | |
Iterator | Iterator() | 저장된 객체를 하나씩 읽어오는 반복자를 리턴합니다. | |
int | size() | 저장된 전체 객체의 수를 리턴합니다. | |
객체 삭제 | void | clear() | Set에 저장된 모든 객체를 삭제합니다. |
boolean | remove(Object o) | 주어진 객체를 삭제합니다. |
HashSet
HashSet은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가장 대표적인 컬렉션 클래스이다. 따라서 Set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그대로 물려받으므로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으며 저장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다.
HashSet에 값을 추가할 때 해당 값이 중복된 값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 add(Object o) 를 통해 객체를 저장하고자 한다.
- 이때 저장하고자 하는 객체의 해시코드를 hashCode() 메서드를 통해 얻어낸다.
- Set이 저장하고 있는 모든 객체의 해시코드를 hashCode() 메서드로 얻어낸다.
- 저장하고자 하는 객체의 해시코드와 Set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객체들의 해시코드를 비교하여 같은 해시코드가 있는지 검사한다.
- 같은 해시코드를 가진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Set에 객체가 추가되며 add(Object o) 메서드가 true를 리턴한다.
- 만약 같은 해시코드를 가진 객체가 존재한다면 equals() 메서드를 통해 객체를 비교한다.
- true가 리턴된다면 중복 객체로 간주하여 Set에 추가되지 않으며, add(Object o)가 false를 리턴한다.
- false가 리턴된다면 Set에 객체가 추가되며 add(Object o) 메서드가 true를 리턴한다.
Set을 활용하는 간단한 예제이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HashSet 생성
HashSet<String > languages = new HashSet<String>();
// HashSet에 객체 추가
languages.add("Java");
languages.add("Python");
languages.add("Javascript");
languages.add("C++");
languages.add("Kotlin");
languages.add("Ruby");
languages.add("Java"); // 중복
// 반복자 생성하여 it에 할당
Iterator it = languages.iterator();
// 반복자를 통해 HashSet을 순회하며 각 요소들을 출력
while(it.hasNext()) {
System.out.println(it.next());
}
}
}
TreeSet
TreeSet은 이진 탐색 트리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의 중복 저장을 허용하지 않고 저장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Set 인터페이스의 특징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전 탐색 트리 (Binary Search Tree)란 하나의 부모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와 연결되는 이진트리(Binary Tree)의 일종으로, 정렬과 검색에 특화된 자료 구조이다. 이 때 최상위 노드를 루트라고 한다. 이전 탐색 트리는 모든 왼쪽 자식의 값이 루트나 부모보다 작고 모든 오른쪽 자식의 값이 루트나 부모보다 큰 값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위 그림의 각 노드들은 아래 노드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한 인스턴스에 해당한다.
class Node {
Object element; // 객체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참조변수 입니다.
Node left; // 왼쪽 자식 노드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참조변수입니다.
Node right; // 오른쪽 자식 노드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참조변수입니다.
}
간단한 예제를 살펴보자
import java.util.TreeSet;
public class TreeSe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reeSet 생성
TreeSet<String> workers = new TreeSet<>();
// TreeSet에 요소 추가
workers.add("Lee Java");
workers.add("Park Hacker");
workers.add("Kim Coding");
System.out.println(workers);
System.out.println(workers.first());
System.out.println(workers.last());
System.out.println(workers.higher("Lee"));
System.out.println(workers.subSet("Kim", "Park"));
}
}
출력값을 확인해 보면 요소를 추가하기만 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으로 사전 편찬 순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TreeSet의 기본 정렬 방식이 오름차순이기 때문이다.
Map
Map 인터페이스는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여기서 이 객체를 Entry 객체라고 하는데 이 Entry 객체는 키와 값을 각각 Key 객체와 Value 객체로 저장한다.
Map을 사용할 때 중요한 사실은 키는 중복으로 저장될 수 없지만, 값은 중복 저장이 가능하다. 이는 키의 역할이 값을 식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기존에 저장된 키와 같은 키로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이 새로운 값으로 대치된다.
Map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는 HashMap, Hashtable, TreeMap, SortedMap 등이 있다.
다음은 Map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이다. List가 인덱스 기준으로 관리되는 반면 Map은 key로 객체들을 관리하기 때문에 키를 매개값으로 갖는 메서드들이 많다.
기능리턴 타입메서드설명
기능 | 리턴타입 | 메서드 | 설명 |
객체 추가 | Object | put(Object key, Object value) | 주어진 키로 값을 저장합니다. 해당 키가 새로운 키일 경우 null을 리턴하지만, 같은 키가 있으면 기존의 값을 대체하고 대체되기 이전의 값을 리턴합니다. |
객체 검색 | boolean | containsKey(Object key) | 주어진 키가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리턴합니다. |
boolean | containsValue(Object value) | 주어진 값이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리턴합니다. | |
Set | entrySet() | 키와 값의 쌍으로 구성된 모든 Map.Entry 객체를 Set에 담아서 리턴합니다. | |
Object | get(Object key) | 주어진 키에 해당하는 값을 리턴합니다. | |
boolean | isEmpty() | 컬렉션이 비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
Set | keySet() | 모든 키를 Set 객체에 담아서 리턴합니다. | |
int | size() | 저장된 Entry 객체의 총 갯수를 리턴합니다. | |
Collection | values() | 저장된 모든 값을 Collection에 담아서 리턴합니다. | |
객체 삭제 | void | clear() | 모든 Map.Entry(키와 값)을 삭제합니다. |
Object | remove(Object key) | 주어진 키와 일치하는 Map.Entry를 삭제하고 값을 리턴합니다. |
HashMap
HashMap은 Map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대표적인 클래스이다. HashMap은 아래 그림과 같이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데 이 객체를 Entry 객체라고 한다.
HashMap은 해시 함수를 통해 키와 값이 저장되는 위치를 결정하므로 사용자는 그 위치를 알 수 없고, 삽입되는 순서와 위치 또한 관계가 없다. 이렇게 HashMap은 이름 그대로 해싱(Hashing)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있어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또한 HashMap의 개별 요소가 되는 Entry 객체는 Map 인터페이스의 내부 인터페이스인 Ent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Map.Entry 인터페이스에는 다음과 같은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다.
리턴타입 | 메서드 | 설명 |
boolean | equals(Object o) | 동일한 Entry 객체인지 비교합니다. |
Object | getKey() | Entry 객체의 Key 객체를 반환합니다. |
Object | getValue() | Entry 객체의 Value 객체를 반환합니다. |
int | hashCode() | Entry 객체의 해시코드를 반환합니다. |
Object | setValue(Object value) | Entry 객체의 Value 객체를 인자로 전달한 value 객체로 바꿉니다. |
HashMap을 생성할 때에는 아래와 같이 키와 값의 타입을 따로 지정해주어야 한다.
HashMap<String, Integer> hashmap = new HashMap<>();
아래 예제로 동작을 살펴보자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ashMap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HashMap 생성
HashMap<String, Integer> map = new HashMap<>();
// Entry 객체 저장
map.put("피카츄", 85);
map.put("꼬부기", 95);
map.put("야도란", 75);
map.put("파이리", 65);
map.put("피존투", 15);
// 저장된 총 Entry 수 얻기
System.out.println("총 entry 수: " + map.size());
// 객체 찾기
System.out.println("파이리 : " + map.get("파이리"));
// key를 요소로 가지는 Set을 생성 -> 아래에서 순회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Set<String> keySet = map.keySet();
// keySet을 순회하면서 value를 읽어옵니다.
Iterator<String> keyIterator = keySet.iterator();
while(keyIterator.hasNext()) {
String key = keyIterator.next();
Integer value = map.get(key);
System.out.println(key + " : " + value);
}
// 객체 삭제
map.remove("피존투");
System.out.println("총 entry 수: " + map.size());
// Entry 객체를 요소로 가지는 Set을 생성 -> 아래에서 순회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Set<Map.Entry<String, Integer>> entrySet = map.entrySet();
// entrySet을 순회하면서 value를 읽어옵니다.
Iterator<Map.Entry<String, Integer>> entryIterator = entrySet.iterator();
while(entryIterator.hasNext()) {
Map.Entry<String, Integer> entry = entryIterator.next();
String key = entry.getKey(); // Map.Entry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Integer value = entry.getValue(); // Map.Entry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System.out.println(key + " : " + value);
}
// 객체 전체 삭제
map.clear();
}
}
Map은 키와 값을 쌍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iterator()를 직접 호출할 수 없습니다. 그 대신 keySet()이나 entrySet() 메서드를 이용해 Set 형태로 반환된 컬렉션에 iterator()를 호출하여 반복자를 만든 후 반복자를 통해 순회할 수 있다.
Hashtable
Hashtable 은 HashMap과 내부구조가 동일하며 사용방법 또한 매우 유사하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ashtable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Hashtable<String, String> map = new Hashtable<String, String>();
map.put("Spring", "345");
map.put("Summer", "678");
map.put("Fall", "91011");
map.put("Winter", "1212");
System.out.println(map);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while (true) {
System.out.println("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System.out.println("아이디");
String id = scanner.nextLine();
System.out.println("비밀번호");
String password = scanner.nextLine();
if (map.containsKey(id)) {
if (map.get(id).equals(password)) {
System.out.println("로그인 되었습니다.");
break;
}
else System.out.println("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
}
else System.out.println("입력하신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
}
컬렉션 클래스 정리
'공부 > 전자컴퓨터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람다식(Lambda Expression)이란? 자바 기초 배우기 (0) | 2024.05.30 |
---|---|
Java 애너테이션(Annotation) 이란? 자바 기초 배우기 (0) | 2024.05.30 |
Java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란? 자바 기초 배우기 (1) | 2024.05.28 |
Java 제네릭(Generic) 이란? 자바 기초 배우기 (0) | 2024.05.28 |
Java 열거형(Enum) 이란? 자바 기초 배우기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