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역률 개선 원리
A
콘덴서에 의해 진상무효분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유도성 부하의 지상 무효전류를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
Q
부하설비 역률이 90%이하로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수 있는 손해는?
A
① 전력손실 증가
② 전압강하 증가
③ 부하용량이 증가 (설비용량의 여유 감소)
④ 전기요금 증가
Q
콘덴서용량 결정의 상한값
A
콘덴서 용량 결정의 상한값은 부하의 지상 무효분의 전력값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Q
경부하시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 결점
A
①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 손실이 생긴다.
② 모선 전압의 과상승
③ 설비 용량 여력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④ 고조파 왜곡의 증대
⑤ 계전기 오동작
Q
전동기에 개별로 콘덴서를 설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자기여자 현상
A
이유: 콘덴서 전류가 전동기의 무부하 전류보다 큰 경우
현상: 전동기 단자전압이 일시적으로 정격전압을 초과하는 현상
Q
개별로 콘덴서 설치할 경우 장단점
A
장점: 전력손실 경감효과가 크다
단점: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
Q
역률을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개개의 부하에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현장 조작 개폐기보다도 부하측에 접속하여야 한다. 콘덴서의 용량, 접속 방법등은 어떻게 시설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하는가
A
① 콘덴서의 용량은 부하의 무효분보다 크게하지 말것
②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특히 전용의 개폐기, 퓨즈, 유입차단기 등을 설치하지 말것
③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설치로 공급회로의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할 경우는 콘덴서 회로에 유효한 직렬 리액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④ 가연성유 봉입의 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는 가연성의 벽, 천장 등과 1m 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Q
전력용 콘덴서 개폐제어의 자동조작제어 요소에 따라 분류할 때 그 제어요소
A
① 무효전력에 의한 제어
② 전압에 의한 제어
③ 역률에 의한 제어
④ 전류에 의한 제어
⑤ 시간에 의한 제어
Q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원인
A
① 콘덴서 설비의 모선단락 및 지락
② 콘덴서 소체 파괴 및 층간 절연파괴
③ 콘덴서 설비내의 배선 단락
Q
고압회로용 진상콘덴서 보호장치
A
① 과전압 계전기
② 저전압 계전기
③ 과전류 계전기
④ 지락 과전류 계전기
⑤ 지락 과전압 계전기
Q
전력용 진상 콘덴서의 정기점검 항목 3가지
A
① 단자의 이완 및 과열 유무 점검
② 용기의 발청 유무 점검
③ 유 누설 유무 점검
Q
방전장치
A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 회로에 설치하는 방전장치는 콘덴서 회로에 직접 접속하거나 또는 콘덴서 회로를 개방하였을 경우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장치하고 또한 개로 후 5초 이내에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50V 이하로 저하 시킬 능력이 있는 것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저압 콘덴서용 방전장치는 3분 이내에 75V이하로 저하
Q
전력용 콘덴서 설치장소
A
① 부하측에 설치
② 수전측 모선에 집중하여 설치
Q
전력용 콘덴서 역할
A
역률 개선
Q
직렬 리액터 역할
A
① 제 5고조파 제거
② 콘덴서 사용시 고조파에 의한 전압파형의 왜공방지
③ 콘덴서 투입 시 돌입전류 억제
④ 콘덴서 개방시 재점호한 경우 모선의 과전압 억제
⑤ 고조파 발생원에 의한 고조파전류의 유입 억제와 계전기 오동작 방지
Q
방전코일 역할
A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를 방전
Q
직렬리액터의 용량
A
제5고조파
①이론상:4%
②실제상:6%
제3고조파
①이론상:11%
②실제상:13%
Q
리액터의 설치 목적
A
① 병렬 리액터: 페란티 방지
② 직렬 리액터: 제 5고조파 제거
③ 소호 리액터: 지락전류 제한
④ 한류 리액터: 단락전류 제한
Q
페란티 현상이란?
A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Q
페란티 발생 원인
A
장거리 송전선로에서 무부하시 흐르는 충전전류에 의해 발생
Q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 (SVC)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A
사이리스터를 이용하여 병렬 콘덴서와 분로리액터를 신속하게 접속 제어하여 무효전력 및 전압을 제어하는 장치
Q
직렬리액터를 설치하영야 하는 경우와 그 효과
A
① 부하설비로 인한 고조파가 존재하는 경우
제 5고조파에 의한 전압파형의 일그러짐 방지
② 콘덴서 투입 시 발생하는 큰 돌입전류에 의해 전원계통 및 부하설비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콘덴서 투입 시 돌입전류 방지
'공부 >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실기 단답-11] 피뢰기 서지흡수기 파트 (0) | 2021.04.03 |
---|---|
[전기기사 실기 단답-10] 퓨즈 파트 (0) | 2021.04.03 |
[전기기사 실기 단답-8] 축전지 파트 (0) | 2021.04.03 |
[전기기사 실기 단답-7] 조명 파트 (0) | 2021.04.03 |
[전기기사 실기 단답-6] 접지 파트 (1) | 2021.04.03 |